기술 가이드

Windows 작업 표시줄에 짧은 메모 고정하기

5 min read Windows 팁 업데이트됨 12 Oct 2025
작업표시줄에 짧은 메모 고정하기
작업표시줄에 짧은 메모 고정하기

Windows 작업 표시줄에 짧은 메모를 두는 방법

빠른 링크

  • 폴더 기반 툴바
  • 템플릿 파일 만들기
  • 메모 내용 채우기
  • 메모 자동화
  • 제한 사항
  • 정렬

개요

Windows의 퀵 런치(Quick Launch)와 유사한 폴더 기반 툴바 기능을 이용하면 추가 프로그램 없이 작업 표시줄에서 작은 정보를 바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못하거나, 가볍게 메모를 한 번에 확인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용어 정의: 툴바 = 작업 표시줄에 추가하는 폴더 뷰를 의미합니다. 템플릿 파일 = 복사해 이름만 바꿔서 메모로 쓰는 빈 .lnk 파일.

폴더 기반 툴바

예전 Windows에 있던 퀵 런치와 비슷한 방식입니다. 새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를 툴바로 추가하면, 그 안의 항목들이 작업 표시줄의 메뉴로 표시됩니다. 여기서는 예시로 “C:\Notes\Phone Numbers” 폴더를 사용합니다.

설치 요약:

  1. 원하는 위치에 새 폴더 생성(예: C:\Notes\Phone Numbers).
  2. 작업 표시줄을 우클릭 → 도구 모음(Toolbars) → 새 도구 모음(New toolbar…) 선택.
  3. 위에서 만든 폴더를 지정하면 작업 표시줄에 폴더 이름과 화살표가 나타납니다.

중요: 작업 표시줄 설정이나 그룹 정책에 따라 일부 옵션이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템플릿 파일 만들기

툴바를 준비한 뒤에는 각 메모 항목의 베이스가 될 템플릿 파일을 만듭니다. 템플릿은 툴바 폴더가 아닌 다른 위치(예: 툴바의 상위 폴더)에도 둘 수 있습니다. 예에서는 템플릿을 “C:\Notes\Template.lnk”로 저장합니다.

만드는 방법:

  1. 메모장(또는 텍스트 편집기)을 새로 열기.
  2. 빈 문서로 두고 ‘다른 이름으로 저장’에서 파일 이름을 반드시 Template.lnk로 지정(확장자 .lnk 포함).
  3. “파일 형식”을 “모든 파일(All Files)”로 변경한 뒤 저장.

빈 .lnk 템플릿을 만드는 Windows 저장 대화상자

Explorer에서 보면 이 파일은 바로가기로 표시됩니다. 실제로는 빈 텍스트 파일이라 실행해도 동작하지 않습니다. 다만 바로가기 형식으로 만들면 아이콘을 바꾸는 등 시각적 표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탐색기에서 템플릿 .lnk 파일이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보이는 모습

메모 내용 채우기

템플릿이 준비되면 그 템플릿 파일을 툴바 폴더로 복사하고, 복사한 파일의 이름을 메모로 사용할 텍스트(예: 전화번호나 짧은 메모)로 바꾸면 됩니다. 파일 이름이 곧 작업 표시줄 툴바에 표시되는 텍스트가 됩니다.

절차 예시:

  1. C:\Notes\Template.lnk 복사.
  2. C:\Notes\Phone Numbers 폴더에 붙여넣기.
  3. 붙여넣은 파일을 원하는 텍스트(예: “김철수 010-1234-5678.lnk”)로 이름 변경.

템플릿을 복사해 메모로 사용하는 예시

작업 표시줄에서 툴바 이름 옆의 화살표를 클릭하면 파일 목록이 표시됩니다.

작업 표시줄 툴바를 클릭했을 때 보이는 항목 목록

메모 자동화

많은 항목을 수동으로 만들기 번거로울 경우, 간단한 배치 스크립트로 새 메모 생성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는 템플릿이 “C:\Notes\Template.lnk”에 있고 툴바 폴더가 “C:\Notes\Phone Numbers”일 때 동작합니다.

@ECHO OFF
SET /P X=Text for note:
COPY "C:\Notes\Template.lnk" "C:\Notes\Phone Numbers\%X%.lnk"
SET X=
PAUSE

사용법:

  1. 위 내용을 .bat 파일로 저장(예: AddNote.bat).
  2. AddNote.bat를 툴바 폴더에 넣거나 빠르게 접근할 위치에 둡니다.
  3. 실행 후 프롬프트에 메모 텍스트를 입력하면 동일한 이름의 .lnk 파일이 생성됩니다.

주의: 배치 스크립트는 입력한 텍스트를 그대로 파일명으로 사용하므로 금지 문자(다음 섹션 참조)에 유의하세요.

제한 사항

이 방법은 파일 이름을 기반으로 표시를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Windows 파일 이름 제한을 따릅니다.

금지 문자:

  • < (작음)
  • (큼)

  • : (콜론)
  • “ (따옴표)
  • / (슬래시)
  • \ (역슬래시)
  • | (파이프)
  • ? (물음표)
    • (별표)

표시 길이 제한:

툴바에 표시되는 텍스트는 화면 픽셀 너비로 잘릴 수 있습니다. 테스트에서는 약 410픽셀 정도에서 잘리는 것을 확인했습니다(문자 종류에 따라 약 38~71자 사이). 잘린 전체 텍스트를 보려면 툴바 항목을 탐색기에서 열어야 합니다. 방법: 툴바를 우클릭 → “폴더 열기(Open Folder)” 선택.

파일 시스템 제한:

NTFS의 극한치는 세 글자 확장자를 포함한 파일명에서 약 251자입니다. 실제로는 폴더 경로 길이에 따라 더 짧아질 수 있습니다.

중요: 클라우드 동기(OneDrive 등)를 사용하는 폴더에 툴바를 두면 동기 충돌이나 파일명 규칙 때문에 오류가 생길 수 있습니다.

툴바의 항목이 잘려 보이는 예시와 폴더 열기 메뉴

정렬

툴바 항목이 화면을 넘겨 스크롤이 생기면 찾기 어려워집니다. 이때 항목을 정렬하면 편합니다. 항목을 정렬하려면 항목을 우클릭하고 “이름별 정렬(Sort by Name)”을 선택하세요.

작업 표시줄 항목을 이름별로 정렬하는 메뉴 예시

이름별 정렬 선택 화면 예시

이제 어떤 창을 열어도 한 번의 클릭으로 필요한 전화번호나 간단한 메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안과 비교

  • Sticky Notes: GUI 기반이고 메모를 화면에 붙여두지만 작업 표시줄에서 바로 선택하는 방식은 아님.
  • OneNote/클라우드 메모: 동기화와 검색 기능이 강력하나 간단히 한 번에 확인하기엔 과할 수 있음.
  • 서드파티 런처(예: Launchy, Wox): 키보드로 빠르게 호출 가능하지만 설치가 필요함.

언제 이 방법이 적합한가: 빠르게 참고할 짧은 정보(전화번호, PIN, 간단한 메시지)를 여러 앱 위에서 곧바로 확인해야 할 때.

언제 적합하지 않은가: 긴 메모, 민감한 개인 정보(암호, 신용카드) 저장, 또는 다수 사용자 동시 접근이 필요한 경우.

실패 사례와 주의점

  • 파일명 길이 또는 경로 길이로 인한 잘림/오류
  • 금지 문자를 입력해 파일 생성 실패
  • 회사 정책이나 그룹 정책으로 툴바 사용이 제한된 환경
  • 클라우드 동기 폴더에서 동기 충돌 발생

권장 대처:

  • 민감한 정보는 암호화된 비밀번호 관리자에 보관하세요.
  • 대량 생성을 할 때는 텍스트 입력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추가하세요(배치 대신 PowerShell 스크립트로 확장 가능).

설치·운영 체크리스트

초보자 체크리스트:

  • C:\Notes\Phone Numbers 폴더 만들기
  • 작업 표시줄에 새 도구 모음으로 추가
  • 메모장에서 Template.lnk 저장
  • 템플릿 복사 후 이름 바꿔 항목 추가

파워유저 체크리스트:

  • 배치 또는 PowerShell로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 템플릿 아이콘 및 설명(아이콘 변경) 설정
  • 정기 백업 및 동기화 예외 설정
  • 그룹 정책 환경에서 작동 확인

사실 상자 (주요 숫자)

  • 툴바에 보이는 잘림 테스트: 약 410픽셀(문자 종류에 따라 38~71자).
  • NTFS 파일명 극한치(세 글자 확장자 포함): 약 251자.
  • 금지 문자: 9개(예: < > : “ / \ | ? *)

단계별 미니 방법론

  1. 폴더 생성 → 2. 작업 표시줄에 툴바 추가 → 3. Template.lnk 만들기 → 4. 템플릿 복사 및 이름 변경으로 항목 추가 → 5. 배치 스크립트로 반복 작업 자동화 → 6. 백업 및 정렬 관리

FAQ

Q: 툴바 항목의 전체 텍스트를 어떻게 보나요?

A: 툴바에서 항목을 우클릭하고 “폴더 열기(Open Folder)”를 선택하면 탐색기에서 전체 파일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파일 이름에 콜론(:)을 넣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Windows 파일명 규칙상 콜론 등 일부 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Q: 템플릿을 실수로 삭제했어요. 복구 방법은?

A: 템플릿은 단순한 빈 .lnk 파일이므로 새로 만들어도 됩니다. 백업을 권장합니다.

요약

이 방법은 추가 소프트웨어 없이 작업 표시줄에서 짧은 메모를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템플릿 .lnk 파일을 복사해 이름만 바꾸는 방식으로 메모를 만들고, 배치 스크립트로 자동화하면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단, 파일명 규칙과 길이 제한을 항상 염두에 두세요.

중요: 민감 정보는 암호화된 전용 도구에 보관하세요.

공유하기: X/Twitter Facebook LinkedIn Telegram
저자
편집

유사한 자료

카메라 사진에서 스턱 픽셀 찾고 제거하는 방법
사진

카메라 사진에서 스턱 픽셀 찾고 제거하는 방법

Android 자동 수정 끄는 방법 — 단계별 가이드
안드로이드

Android 자동 수정 끄는 방법 — 단계별 가이드

안드로이드에서 WhatsApp 두 계정 사용하기
모바일

안드로이드에서 WhatsApp 두 계정 사용하기

안드로이드 강제 업데이트 확인 가이드
모바일

안드로이드 강제 업데이트 확인 가이드

작업표시줄에 짧은 메모 고정하기
Windows 팁

작업표시줄에 짧은 메모 고정하기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번호 추가·서식·제거
가이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번호 추가·서식·제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