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가이드

Windows 키가 작동하지 않을 때—완전한 점검 및 해결 가이드

11 min read Windows 문제해결 업데이트됨 18 Oct 2025
Windows 키가 작동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Windows 키가 작동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소개

Windows 키(Win 키)는 시작 메뉴를 열고 다양한 단축키 조합으로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킵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Win 키가 반응하지 않거나 Start 메뉴가 뜨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가이드는 원인별 진단 흐름, 각 문제에 대한 안전한 해결 절차, 복구 및 테스트 방법까지 포괄적으로 제공합니다.

중요: 먼저 키보드를 청소하고 외부 키보드를 연결해 하드웨어 문제인지 확인하세요.

주요 의도 및 변형 검색어

  • 주된 의도: Windows 키가 작동하지 않음 해결 방법
  • 관련 변형: 윈도우 키 고장, Win 키 안 눌림, 시작 메뉴 안 뜸, 키보드 단축키 문제, Windows 키 잠김 해제

빠른 체크리스트 (초간단 순서)

  1. 다른 키(예: Ctrl, Alt)가 정상인지 확인.
  2. 외부 USB/Bluetooth 키보드 연결하여 Win 키 테스트.
  3. Filter Keys / Sticky Keys 해제.
  4. 게임 키/Win Lock 키 확인.
  5. 작업 관리자에서 Windows Explorer 재시작.
  6. 장치 관리자에서 키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HID로 변경.
  7. 레지스트리의 Scancode Map 제거(백업 후).
  8. PowerShell로 앱 재등록, SFC/DISM 검사.
  9. 악성코드 검사.

문제의 일반적인 원인

  • 물리적 손상(키캡/스위치 고장) 또는 내부 잔해
  • 접근성 설정(Filter Keys, Sticky Keys)으로 인한 입력 무시
  • 게임/Windows Lock(키보드 전용)으로 Win 키 비활성화
  • 레지스트리(Scancode Map)로 키 맵핑 변경
  • 파일 탐색기(Start 메뉴) 프로세스 충돌
  • 키보드 드라이버 손상 또는 호환성 문제
  • 특정 앱 또는 시스템 업데이트와의 충돌
  • 악성코드가 키 입력 동작을 방해

1. Filter Keys와 Sticky Keys 끄기

설명: Filter Keys는 짧게 반복되는 키 입력을 무시합니다. Sticky Keys는 동시에 누르는 단축키를 대체하여 순차 입력을 허용합니다. 두 기능 모두 의도치 않게 Win 키 입력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간단 방법:

  1. 오른쪽 Shift 키를 8초간 누릅니다. Filter Keys 켜기/끄기 팝업이 뜨면 “아니요“를 클릭하여 끕니다.

필터 키 팝업을 끄는 화면

  1. Shift 키를 5번 연속으로 누릅니다. Sticky Keys 팝업에서 “아니요“를 선택해 끕니다.

Sticky Keys 설정 팝업을 보여주는 화면

설정으로 직접 진입:

  1.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엽니다.

Windows 설정을 여는 화면

  1. 접근성 -> 키보드로 이동합니다.

Windows 설정 내 접근성의 키보드 항목 화면

  1. “필터 키” 토글을 끕니다.

키보드의 필터 키 설정 화면

  1. “Sticky keys”를 선택해 토글을 끕니다.

접근성에서 Sticky Keys를 끄는 화면

확인: 설정을 변경한 후 Win 키가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하세요.

중요: 접근성 기능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는 끄기 전에 현재 설정을 기록해 두세요.


2. Windows Lock(게임용) 키 해제

설명: 게이밍 키보드에는 Win 키를 잠그는 기능(Windows Lock 또는 Win 키 잠금)이 있어 게임 중 실수 입력을 방지합니다.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Win 키가 완전히 비활성화됩니다.

검사 및 해제 방법:

  • 일부 키보드는 Fn + F6 또는 Fn + Win 조합으로 Win 키 잠금을 토글합니다.
  • 키보드에 별도의 Win Lock 전용 키가 있을 수 있으니 키캡 앞면의 아이콘(창 모양에 잠금)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Apache USB 게이밍 키보드의 전체 뷰

  1. Fn + F6, 또는 Fn + Win을 눌러 잠금을 해제합니다.

확인: 잠금 해제 후 Win 키가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팁: 키보드 설명서를 참조하면 제조사별 토글 조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레지스트리에서 Windows 키 활성화(Scancode Map 제거)

설명: Scancode Map 레지스트리 항목은 특정 키의 동작을 다른 키로 맵핑하거나 완전히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악성 소프트웨어나 사용자의 실수로 이 항목이 추가되면 Win 키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전 주의사항:

  • 레지스트리 편집은 시스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변경 전 전체 레지스트리 백업을 권장합니다.
  •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절차:

  1. Windows 검색에서 “실행(Run)”을 입력해 실행 창을 엽니다.

Windows 검색에서 실행을 입력하는 화면

  1. 실행 창에 regedit 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실행 창에 regedit를 입력하는 화면

  1. UAC 프롬프트에서 예(Yes)를 클릭합니다.

  2. 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해당 경로로 이동하는 화면

  1. “Keyboard Layout” 키를 선택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Keyboard Layout 항목 선택 화면

  1. 오른쪽 패널에서 “Scancode Map” 항목이 있으면 우클릭 -> 삭제(Delete)를 선택합니다.

Scancode Map 항목을 선택하여 삭제하는 화면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PC를 재시작합니다.

설명: Scancode Map은 키의 스캔 코드를 다시 매핑하는 곳입니다. 삭제하면 기본 키 매핑으로 복원됩니다.

롤백 팁: 변경 전에는 해당 키를 내보내기(Export)해 백업 파일(.reg)을 저장해 두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더블클릭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4. 시작 메뉴가 열리지 않는 문제 확인 및 복구

설명: Win 키가 눌리지만 시작 메뉴가 뜨지 않는 경우는 Start 프로세스 또는 관련 서비스가 비활성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WpnUserService 등 일부 서비스가 올바르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절차:

  1. Win + R로 실행 창을 열고 regedit 입력 후 실행합니다.

  2. 레지스트리의 백업을 반드시 생성하세요.

  3. 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

레지스트리에서 Services 경로로 이동하는 화면

  1. “WpnUserService” 항목을 찾아 선택합니다.

  2. 오른쪽에서 “Start” 값을 더블클릭하고 값 데이터(Value data)를 2(자동)로 설정합니다. 이미 2면 0~4 범위 내 다른 값으로 바꿨다가 원래대로 2로 설정해 재확인합니다.

Start 값 데이터 설정 화면

  1. PC를 재시작한 뒤 시작 메뉴가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팁: 시작 메뉴 문제는 파일 탐색기 또는 Shell 프로세스와도 연관되므로 다음 섹션의 Explorer 재시작을 병행하세요.


5. 파일 탐색기(Windows Explorer) 재시작

설명: Start 메뉴와 작업 표시줄은 Windows Explorer 프로세스에 의해 관리됩니다. Explorer가 비정상 상태이면 Win 키로 Start가 열리지 않습니다.

절차:

  1. Ctrl + Shift + Esc로 작업 관리자를 엽니다.
  2. 목록에서 “Windows Explorer”를 찾습니다.
  3. 선택한 뒤 오른쪽 하단의 “다시 시작(Restart)” 버튼을 클릭합니다.

작업 관리자에서 Windows Explorer를 다시 시작하는 화면

확인: Explorer가 재시작되면 Win 키로 시작 메뉴가 열리는지 테스트합니다.

추가: Explorer 재시작은 시작 메뉴, 작업 표시줄, 데스크톱 아이콘 문제를 가장 빠르게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6. 키보드 문제 해결사 실행

설명: Windows에는 일반적인 입력 관련 문제를 자동으로 진단하는 키보드 문제 해결사가 있습니다. 소프트웨어적인 충돌인 경우 자동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절차:

  1. 시작 메뉴에서 설정을 엽니다.
  2. 시스템 -> 문제 해결(Troubleshoot)으로 이동합니다.

문제 해결 메뉴로 접근하는 화면

  1. “추가 문제 해결사(Other troubleshooters)”를 선택합니다.

기타 문제 해결사 선택 화면

  1. 키보드 항목에서 “실행(Run)”을 클릭합니다.

키보드 문제 해결사 실행 버튼 화면

  1. 문제 해결사 안내에 따라 진행 후 Win 키 작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팁: 문제 해결사가 권장하는 조치를 모두 수행한 뒤 시스템을 재시작하면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7. 키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재설치

설명: 드라이버가 오래되었거나 손상되면 키 입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제조사 드라이버 대신 Windows의 일반 HID 드라이버로 전환하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절차:

  1. 시작에서 장치 관리자(Device Manager)를 검색해 엽니다.

장치 관리자를 검색하는 화면

  1. “키보드(Keyboards)”를 확장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Keyboards 항목을 확장한 화면

  1. 사용 중인 키보드를 우클릭하고 “드라이버 업데이트(Update driver)”를 선택합니다.

키보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는 화면

  1. “내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찾아보기(Browse my computer for drivers)”를 선택합니다.

드라이버 업데이트 옵션에서 내 컴퓨터에서 찾아보기 화면

  1. “내 컴퓨터의 사용 가능한 드라이버 목록에서 선택하게 해 주세요(Let me pick from a list…)”를 선택합니다.

사용 가능한 드라이버 목록에서 선택하는 화면

  1. 목록에서 “HID Keyboard Device”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또는 제조사 제공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선택하여 설치합니다.

확인: 설치 후 PC를 재시작하고 Win 키를 테스트합니다.

팁: 외부 키보드(USB)에서는 장치 관리자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제거한 뒤 다시 연결하면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재설치됩니다.


8. PowerShell로 앱 재등록

설명: 일부 UI 구성요소 또는 앱이 손상되면 Start 메뉴와 관련된 동작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모든 AppX 패키지를 재등록하면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주의: 명령을 정확히 입력해야 하며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절차:

  1. 시작 메뉴에서 PowerShell을 검색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Run as administrator)”을 선택합니다.

PowerShell을 검색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 화면

  1. UAC에서 예(Yes)를 클릭합니다.

  2. 아래 명령을 복사하여 붙여넣고 Enter를 누릅니다:

Get-AppXPackage -AllUsers |Foreach{Add-AppxPackage -DisableDevelopmentMode -Register "$($_.InstallLocation)\AppXManifest.xml"}

PowerShell 창에서 명령을 입력하는 화면

  1. 작업이 완료되면 시스템을 재시작하고 Win 키를 테스트합니다.

주의: 잘못된 명령 실행은 시스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정확히 입력하세요.


9. Game Mode 비활성화

설명: Game Mode는 리소스 할당을 변경해 게임 성능을 우선시합니다. 일부 경우 시스템 동작에 영향을 주어 Win 키나 단축키가 예상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절차:

  1. 설정 -> 게임 -> Game Mode로 이동합니다.

설정의 Game Mode 항목 화면

  1. “Game Mode” 토글을 끕니다.

Game Mode 토글을 끄는 화면

확인: Game Mode를 끈 후 Win 키가 정상인지 확인합니다.

팁: 게임을 주로 하지 않으면 Game Mode를 항상 꺼두는 것이 시스템 안정성에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10. 새 사용자 계정 생성

설명: 사용자 계정에만 문제가 국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 손상이나 권한 문제로 Win 키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새 로컬 계정을 만들어 테스트합니다.

절차:

  1. 설정 -> 계정 -> 가족 및 다른 사용자로 이동합니다.

Windows 설정의 가족 및 다른 사용자 화면

  1. 다른 사용자 섹션에서 “계정 추가(Add account)”를 클릭합니다.

다른 사용자 추가 버튼 화면

  1. 화면의 안내에 따라 새 계정을 생성하고, 새 계정으로 로그인한 뒤 Win 키 동작을 확인합니다.

확인: 새 계정에서 Win 키가 정상이라면 기존 계정 프로파일의 손상이 원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11. SFC 및 DISM 검사 실행

설명: 손상된 시스템 파일은 다양한 UI/입력 문제를 유발합니다. SFC(System File Checker)와 DISM(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시스템 무결성을 검증하고 복구합니다.

절차(권장 순서):

  1.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 또는 PowerShell을 엽니다.
  2.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sfc /scannow
  1. 완료 후 아래 DISM 명령을 순서대로 실행합니다:
DISM /Online /Cleanup-Image /CheckHealth
DISM /Online /Cleanup-Image /ScanHealth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1. 모든 명령이 완료되면 PC를 재시작하고 Win 키를 테스트합니다.

참고: SFC는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찾아 복구하며, DISM은 이미지 문제를 진단·복구합니다.


12. 악성코드 검사

설명: 드물지만 악성코드나 원치 않는 프로그램이 키 입력을 가로채거나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본 보안 소프트웨어 또는 Windows 보안으로 검사하세요.

절차:

  1. Windows 검색에서 “Windows 보안(Windows Security)”을 입력하고 엽니다.

Windows 검색에서 Windows Security를 검색하는 화면

  1. 왼쪽 메뉴에서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Virus & threat protection)” 선택 후 “빠른 검사(Quick scan)”를 실행합니다.

Windows Security의 빠른 검사 버튼 화면

  1. 필요한 경우 정밀 검사(Full scan) 및 오프라인 검사(Windows Defender Offline)를 실행합니다.

  2. 악성 요소가 발견되면 권장 조치(격리/삭제)를 수행하고 시스템을 재시작합니다.

팁: 신뢰할 수 없는 서드파티 키보드 관리 소프트웨어나 매크로 프로그램이 문제 원인일 수 있으니 함께 확인하세요.


하드웨어 검사 및 청소 가이드

설명: 물리적 키 불량은 매우 흔합니다. 다음 단계로 하드웨어를 점검하고 간단한 청소 및 교체 절차를 따릅니다.

점검 순서:

  1. 외부 키보드(USB/Bluetooth)로 동일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합니다. 외부 키보드에서 정상이라면 내장 키보드(노트북) 또는 특정 키보드 하드웨어 문제일 가능성 높음.
  2. 키보드 표면 먼지 제거: 에어블로어(압축 공기)를 사용해 키 사이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3.(keycap 제거 가능한 기계식의 경우) 키캡을 분리해 내부 스위치를 확인하고 접점에 이물질이 있는지 점검합니다. (제조사 지침을 따르세요.)
  3. 키 자체(스위치) 불량 의심 시 동일 모델의 예비 키보드나 개별 스위치 교체를 고려합니다.

안전 주의: 노트북 키보드를 분해하는 작업은 전문 지식이 필요하며 보증 무효화 위험이 있으니 자신이 없으면 서비스 센터에 의뢰하세요.


대체 방법 및 임시 우회책

  • On-Screen Keyboard(화면 키보드): 시작 메뉴에서 “화면 키보드”를 검색해 Win 키 기능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 외부 USB/Bluetooth 키보드 사용: 임시로 빠르게 작업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 키 매핑 소프트웨어(예: Microsoft PowerToys의 Keyboard Manager)로 임시 단축키를 설정해 Win+X 등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대체.

주의: 타사 키 매핑 도구는 시스템 충돌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도구만 사용하세요.


점검 및 복구 SOP(표준 운영 절차) — 단계별 체크리스트 (IT 지원용)

목표: Win 키 불능 문제를 30분 내에 진단·해결(가능한 경우)하는 표준 절차.

사전 준비: 관리자 계정, 원격 접속 도구(필요 시), 레지스트리 백업 방법, 복구 미디어

  1. 고객/사용자 문의 접수 시 문제 재현 단계 수집: 증상, 최근 변경(업데이트/설치), 외장 장치.
  2. 원격 연결 또는 현장 진단 시작.
  3. 물리적/하드웨어 점검: 외부 키보드 연결 시도, 물리적 손상/이물질 확인.
  4. 접근성 설정 점검: Filter Keys/Sticky Keys 해제.
  5. 게임 잠금 또는 키보드 전용 Lock 확인.
  6. Explorer 재시작 및 문제 해결사 실행.
  7. 드라이버 점검: 드라이버 재설치 또는 HID로 대체.
  8. 레지스트리 Scancode Map 확인/백업 후 삭제.
  9. PowerShell로 AppX 재등록, SFC/DISM 실행.
  10. 악성코드 스캔.
  11. 문제 해결 실패 시 하드웨어 교체 권고 및 복구 시나리오 제시.

검증: 각 단계 후 사용자가 Win 키 동작을 확인하도록 요청. 최종 해결 시 조치 내역을 기록하고 재발방지 권장사항 전달.


테스트 케이스 및 수락 기준

  • TC-01: 외부 USB 키보드로 Win 키 정상 작동 확인 => 하드웨어 문제 아님.
  • TC-02: 접근성 필터/스티키 Keys 끈 후 Win 키 정상 => 접근성 설정 문제 해결.
  • TC-03: Scancode Map 삭제 후 재부팅 후 Win 키 정상 => 레지스트리 매핑 문제 해결.
  • TC-04: PowerShell 재등록 또는 SFC/DISM 수행 후 정상 => 시스템 파일/애플리케이션 문제 해결.
  • 수락 기준: Win 키로 시작 메뉴가 안정적으로 열리고 최소 3개의 Win 단축키(Win+E, Win+R, Win+I)가 정상 동작하면 해결로 간주.

의사결정 흐름도(간단한 진단 트리)

flowchart TD
  A[Win 키가 전혀 반응하나요?] -->|예| B{외부 키보드 연결 테스트}
  B -->|외부도 동일| C[접근성 설정 확인]
  B -->|외부는 정상| D[내장 하드웨어 or 키보드 문제]
  C --> E{Filter/Sticky 키 활성화?}
  E -->|예| F[해제 후 테스트]
  E -->|아니오| G[Win Lock/게임 모드 확인]
  G --> H{해결됨?}
  H -->|예| Z[종료]
  H -->|아니오| I[레지스트리 Scancode Map 확인]
  I --> J{Scancode Map 존재?}
  J -->|예| K[백업 후 삭제, 재시작]
  J -->|아니오| L[드라이버 재설치 및 SFC/DISM]
  L --> M{해결됨?}
  M -->|아니오| N[악성코드 검사 및 새 사용자 계정 테스트]
  N --> O{해결됨?}
  O -->|아니오| D
  D --> P[하드웨어 점검/교체 권장]
  F --> Z
  K --> Z

언제 이 가이드로 해결되지 않는가(예외 사례)

  • 키 자체 물리적 손상(스위치 불량, 단선)인 경우 소프트웨어적 조치로는 해결 불가.
  • 펌웨어 또는 BIOS/UEFI 레벨에서 키를 무시하도록 설정된 경우(드물지만 일부 OEM에서 제공)에는 BIOS 업데이트 또는 제조사 설정이 필요.
  • 특수 키보드 전용 드라이버가 시스템과 충돌하는 경우, 제조사 드라이버의 패치가 있을 때까지 우회 필요.

역할별 체크리스트

사용자(비전문가):

  • 외부 키보드로 테스트
  • Filter/Sticky Keys 끄기
  • Win Lock 키 확인
  • 화면 키보드로 임시대응

게이머:

  • 키보드의 Win Lock 토글 점검
  • Game Mode 끄기
  • 매크로 소프트웨어 일시 중지

IT 관리자/지원팀:

  • 레지스트리 백업 및 Scancode Map 점검
  • 드라이버 배포 정책 검토 및 HID 강제 적용
  • SFC/DISM 자동화 스크립트 준비
  • 문제 재발 시 교체용 키보드/복구 이미지 준비

1줄 용어집

  • Win 키: Windows 로고가 있는 키로 시작 메뉴 및 단축키 실행
  • Filter Keys: 짧은 반복 입력을 무시하는 접근성 기능
  • Sticky Keys: 동시에 누르는 단축키를 순차로 입력 가능하게 하는 기능
  • Scancode Map: 레지스트리에서 키의 스캔 코드를 재매핑하는 항목
  • SFC: System File Checker, 시스템 파일 무결성 검사 도구
  • DISM: 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이미지 복구 도구

예방 및 권장 사항

  • 정기적으로 Windows 업데이트를 적용하되, 새 업데이트 설치 후 이상 증상 발생 시 바로 문제를 기록하세요.
  • 키보드 제조사 드라이버는 신뢰할 수 있는 공식 출처에서만 설치하세요.
  • 주기적 키보드 청소로 물리적 고장을 예방하세요.
  • 시스템 설정 변경(특히 레지스트리)은 백업을 만들어 안전하게 관리하세요.

요약

  • Win 키 문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설정, 악성코드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 빠른 해결을 위해 단계별로: 하드웨어 확인 → 접근성/게임 잠금 확인 → Explorer 재시작 → 드라이버/레지스트리 점검 → PowerShell/SFC/DISM → 악성코드 검사 순으로 진행하세요.
  • IT 지원팀은 위의 SOP를 사용해 재현, 복구, 검증 절차를 표준화하세요.

이미지 출처: Pexels. 모든 스크린샷 제공: Ojash Yadav.

공유하기: X/Twitter Facebook LinkedIn Telegram
저자
편집

유사한 자료

Huawei 기기에 Google Play 스토어 설치 가이드
모바일 가이드

Huawei 기기에 Google Play 스토어 설치 가이드

WiKID 4.0 Quick-setup 빠른 구성 가이드
인증

WiKID 4.0 Quick-setup 빠른 구성 가이드

Google+ Hangouts On Air로 방송하고 녹화하기
튜토리얼

Google+ Hangouts On Air로 방송하고 녹화하기

Feathr.it로 트윗 글자수 빠르게 줄이기
소셜 미디어

Feathr.it로 트윗 글자수 빠르게 줄이기

Cleanfox로 Gmail 뉴스레터·스팸 한꺼번에 정리
생산성

Cleanfox로 Gmail 뉴스레터·스팸 한꺼번에 정리

Ubuntu 12.04에서 X2Go에 WiKID 2단계 인증 설정
원격 데스크톱 보안

Ubuntu 12.04에서 X2Go에 WiKID 2단계 인증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