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가이드

Linux 터미널 기초 가이드

7 min read Guide 업데이트됨 21 Sep 2025
Linux 터미널 기초 가이드: 명령어·파이프라인·예제
Linux 터미널 기초 가이드: 명령어·파이프라인·예제

컴퓨터 화면 클로즈업, 중앙에 Linux 터미널 아이콘이 보임.

빠른 링크

  • Linux 터미널을 배우는 이유

  • 기본 명령어: pwd, ls, cd, cat, less, rm

  • Linux 터미널 프로그램 중단하는 방법

  • 터미널 리다이렉션과 파이프라인

  • Linux 명령줄: Linux에만 국한되지 않음

  • 실무 예제: ImageMagick과 FFmpeg

Linux를 사용하고 있다면 언젠가 터미널을 다뤄야 합니다. 처음에는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단계별로 익히면 빠르게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기본 개념부터 실무 적용까지 차근차근 설명합니다.

Linux 터미널을 배우는 이유

Vim 에디터와 쉘이 별도 터미널 창에 표시된 Linux 데스크탑 화면.

현대의 Linux 데스크톱은 그래픽 환경을 제공하지만, 많은 작업은 여전히 터미널에서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됩니다. 터미널 기반 도구는 메모리와 CPU 사용 측면에서 가벼운 경우가 많아 대용량 이미지나 비디오 처리를 할 때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전체 GUI 편집기를 띄우지 않고 ImageMagick이나 FFmpeg로 빠른 변환·리사이즈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터미널의 주요 장점:

  • 속도: 반복 작업과 배치 처리를 자동화하기 쉬움
  • 이식성: 텍스트 기반 도구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거의 동일하게 동작
  • 조합성: 명령어를 파이프(|)로 연결해 복잡한 처리 흐름 구성 가능
  • 학습 가치: 개발자·시스템 관리자·데이터 과학자 등 IT 직군에서 필수 기술

macOS의 터미널과 Windows의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통해 Linux 명령줄 기능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BSD 기반 도구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튜토리얼을 그대로 따라할 수 있습니다.

Important: 터미널에서 파일을 삭제하거나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때는 항상 주의하세요. 되돌릴 수 없는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본 명령어: pwd, ls, cd, cat, less, rm

용어 정리: “작업 디렉터리(working directory)” — 현재 쉘이 기준으로 삼는 폴더입니다.

시작하려면 데스크탑 메뉴에서 “terminal” 또는 “console”을 열어 프롬프트를 확인하세요. 기본적으로 “홈 디렉터리”에서 시작합니다. Linux 파일 시스템은 드라이브 문자(C:, D:) 대신 단일 루트(/)에서 분기합니다.

현재 위치 확인:

pwd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입니다. 예: /home/youruser

홈 디렉터리에서 pwd 명령어 출력 화면.

프롬프트에 ~(틸드)로 홈을 표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빠른 위치 파악에 유용합니다.

디렉터리 목록 보기:

ls

ls 명령어로 현재 디렉터리 파일 목록 출력.

특정 디렉터리 보기:

ls /etc

/etc 디렉터리 내용을 ls로 나열한 화면.

숨김 파일(앞에 .이 붙는 파일)은 기본 ls 출력에 나타나지 않습니다. 모든 파일을 보려면:

ls -a

상세 정보(권한, 소유자 등)를 보려면:

ls -l

두 옵션을 결합하면:

ls -la

ls -la 출력 예시: 파일 권한, 소유자, 크기 등이 포함된 목록.

옵션은 프로그램에 따라 - 또는 –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help로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

디렉터리 이동:

cd /usr/bin

절대 경로(루트부터 시작)와 상대 경로(현재 디렉터리 기준)가 있습니다. 하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pictures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한 단계 위로 간 다음 다른 하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foo

홈으로 돌아가려면 단독으로 cd만 입력하면 됩니다.

파일 내용 보기:

cat hello.py

cat은 파일의 모든 줄을 터미널에 출력합니다. 여러 파일을 이어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cat foo bar baz

바이너리 파일에 cat을 쓰면 읽을 수 없는 문자가 많이 나오므로 주의하세요.

큰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탐색하려면 less를 사용하세요. more도 유사하지만 less가 더 기능적입니다.

less /foo/bar

space로 다음 화면으로, b로 이전 화면으로, /로 앞으로 검색, ?로 뒤로 검색, n으로 다음 일치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종료하려면 q를 누릅니다.

파일 삭제:

rm file

중요: rm으로 삭제하면 일반적으로 휴지통으로 갈 수 없으니 신중히 사용하세요. 되돌리기 어려운 작업입니다.

Linux 터미널 프로그램 중단하는 방법

때로는 명령이 예상보다 오래 걸립니다. 터미널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하려면 Ctrl+C를 누르세요. 이는 SIGINT를 보내 프로세스를 종료시킵니다. 대화형 프로그램에서는 q로 종료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Vim에서는 Esc -> :q! 로 저장 없이 종료합니다.

백그라운드 실행: 명령 끝에 &를 붙이면 명령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면서 터미널 제어를 돌려받습니다.

long_running_command &

백그라운드 작업 목록 보기 및 제어:

jobs
fg %1
bg %1

터미널 리다이렉션과 파이프라인

리다이렉션은 입출력을 파일로 전환하거나, 파이프라인으로 명령들을 연결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출력을 파일로 저장:

ls > my_files

입력을 파일에서 읽기:

cat < file

명령 출력을 다음 명령의 입력으로 전달(파이프):

cat files | ls

일반적 예: 프로세스 목록에서 특정 패턴 검색

ps aux | grep 'sh'

ps aux 출력이 grep으로 파이프된 화면.

리다이렉션 및 파이프 활용 팁:

  • stderr(표준 오류)를 파일로 보내려면 2>를 사용합니다. 예: command 2>errors.txt
  • stdout(표준 출력)과 stderr를 함께 파일로 보내려면 &>를 사용하거나 2>&1로 리다이렉트합니다.
  • 파이프는 스트림 기반이므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메모리를 절약합니다.

Linux 명령줄: Linux에만 국한되지 않음

Windows 바탕화면, Chrome·Spotify·WSL 터미널이 보이는 화면.

Windows에서는 WSL을 설치해 Linux 사용자 공간을 사용하거나, Git Bash 같은 경량 환경을 쓸 수 있습니다. macOS는 기본 터미널로 BSD 계열 유틸리티를 제공하지만 대부분 Linux 명령과 유사하게 동작합니다. 다만 sed, awk, ls 옵션 등 세부 동작이 약간 다를 수 있으니 문서나 –help를 확인하세요.

호환성 팁:

  • 스크립트를 배포할 때는 /bin/sh 호환 문법을 지키면 더 많은 시스템에서 작동합니다.
  • 복잡한 스크립트는 Bash 헤더(#!/usr/bin/env bash)를 사용하세요.

실무 예제: ImageMagick과 FFmpeg

이미지와 비디오를 배치로 변환·압축할 때 CLI 도구가 특히 유용합니다.

이미지 리사이즈 예: old_image.jpg를 25%로 줄여 new_image.jpg로 저장

magick resize 25% old_image.jpg new_image.jpg

FFmpeg로 MP4를 AVI로 변환:

ffmpeg -i Big-buck-bunny_trailer.mp4 test.avi

WSL에서 MP4를 AVI로 변환하는 FFmpeg 사용 화면.

파이프라인과 조합하면 더 강력합니다. 예: 이미지 폴더의 모든 PNG를 리사이즈하고 출력 로그를 파일에 모으기

for f in *.png; do magick "$f" -resize 800x600 "resized/$f" >> resize.log 2>&1; done

위 예시는 쉘 확장(globbing), 변수, 리다이렉션을 조합한 실무형 템플릿입니다.

실무 체크리스트: 역할별 권장 작업

개발자:

  • 소스 코드 편집과 빌드 자동화에 터미널 활용
  • git 명령어 숙련 (clone, commit, push, rebase 등)
  • 디버깅을 위해 로그 탐색(grep, tail -f)

시스템 관리자(운영자):

  • 서비스 관리(systemctl, journalctl)
  • 사용자 및 권한 관리(chown, chmod, useradd)
  • 백업·복원 스크립트 자동화

데이터 과학자:

  • 대량 데이터 전처리(csv, json 파이프라인)
  • Python/R 스크립트 배치 실행
  • 파일 시스템과 프로세스 모니터링

디자이너/멀티미디어 담당자:

  • ImageMagick, FFmpeg로 대량 변환·클렌징
  • 메타데이터 추출(exiftool)
  • 파일 포맷 일괄 정리

학습 로드맵(초급→중급→실무)

graph TD A[기초(명령어, 파일 탐색)] –> B[파이프와 리다이렉션] B –> C[스크립트 기본(Bash)] C –> D[자동화(크론, systemd 타이머)] D –> E[로그·모니터링·디버깅]

(위 다이어그램은 학습 순서를 나타냅니다.)

학습 단계:

  1. 기본 명령어와 파일 시스템 구조 이해
  2. 파이프·리다이렉션·글로빙 연습
  3. 간단한 Bash 스크립트 작성(조건문·반복문)
  4. 도구(awk, sed, xargs, find) 학습
  5. 배치 자동화와 CI/CD 통합

실전 팁과 흔한 실수

  • rm -rf을 사용할 때는 항상 경로를 재확인하세요. 실수로 루트를 지우면 복구가 불가능합니다.
  • sudo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마세요. 루트 권한으로 수행하면 실수의 영향이 커집니다.
  • 큰 파일 처리 시 메모리 기반 툴 대신 스트림 기반 도구(파이프)를 사용하세요.
  • 스크립트에 하드코딩된 경로와 사용자명을 피하고 환경 변수나 인수로 처리하세요.

Counterexample(실패 사례): GUI에서 파일을 일괄 편집하려다 여러 번 클릭으로 시간이 낭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터미널을 사용한 일괄 처리(명령 반복, for 루프)로 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명령어 치트시트(자주 쓰는 명령)

  • pwd: 현재 작업 디렉터리 출력
  • ls, ls -l, ls -la: 파일 목록
  • cd : 디렉터리 이동
  • cat : 파일 내용 출력
  • less : 페이지 단위로 파일 보기
  • rm : 파일 삭제
  • mv src dst: 파일 이동/이름 변경
  • cp src dst: 파일 복사
  • find . -name “*.log”: 파일 검색
  • grep -R “pattern” .: 패턴 검색
  • xargs -I {} cmd {}: 표준 입력을 명령 인수로 사용
  • chmod u+rwx 파일: 권한 변경
  • chown user:group 파일: 소유권 변경
  • sudo :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실행
  • tar -czvf archive.tar.gz dir/: 압축·보관
  • rsync -av src/ dst/: 효율적 동기화

테스트 케이스(기본 수동 확인):

  • ls -la로 숨김 파일이 보이는지 확인
  • cat으로 텍스트 파일을 확인한 뒤 less로 동일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스크롤
  • 간단한 파이프 ps aux | grep 로 프로세스가 검색되는지 확인

보안 및 개인정보 주의사항

  • 비밀번호나 민감한 정보를 평문 파일에 저장하지 마세요.
  • 공개 서버에 중요한 키 파일을 두지 마세요. (권한을 600으로 제한)
chmod 600 ~/.ssh/id_rsa
  • 스크립트에 민감한 토큰을 직접 넣지 말고 환경 변수를 사용하세요.
  • 시스템 로그를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알려지지 않은 접근 시 즉시 조사하세요.

Privacy note: 개인 데이터나 EU/국내 개인정보를 처리할 때는 저장 및 전송 경로를 암호화하고 최소한의 권한만 부여하세요.

대안 및 도구 비교

  • GUI vs CLI: GUI는 학습 비용이 낮고 시각적이지만 반복 작업·대량 처리에 비효율적입니다. CLI는 자동화와 재현성이 강점입니다.
  • Bash vs 다른 쉘(zsh, fish): zsh는 개선된 탭 완성과 플러그인을 제공합니다. 기본 스크립트 호환성은 Bash가 높습니다.
  • WSL vs 가상머신: WSL은 가볍고 빠르지만 커널 차이로 인해 일부 저수준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VM은 완전한 Linux 환경을 제공합니다.

학습용 미니 프로젝트(실습 아이디어)

  1. 사진 폴더의 모든 PNG를 1024px 너비로 일괄 리사이즈해 resized/에 저장하고 로그를 남기는 스크립트 작성
  2. 서버 로그에서 특정 오류 패턴을 찾아 요약 리포트를 생성하는 파이프라인 작성
  3. 작은 비디오 컬렉션을 모두 동일한 해상도와 코덱으로 변환하는 FFmpeg 배치 스크립트 작성

1라인 용어집

  • 터미널: 텍스트 기반 명령 입력기
  • 쉘: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예: bash, zsh)
  • 파이프라인: 명령 출력(stdout)을 다음 명령 입력(stdin)으로 연결하는 방식
  • 리다이렉션: 표준 입출력을 파일로 연결하는 것

결론

이 글은 Linux 터미널의 기초를 빠르게 익히려는 분들을 위한 출발점입니다. 터미널을 꾸준히 사용하면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도구를 조합해 강력한 워크플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기본 명령어를 숙달하고, 파이프·리다이렉션·스크립팅을 통해 점차 복잡한 작업으로 확장해 보세요.

Notes: 이 문서는 가능한 한 실무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실제 환경에서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작은 테스트 디렉터리에서 먼저 검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간단 발표문(약 120자): Linux 터미널의 핵심 개념과 실무 예제를 정리한 초심자 가이드입니다. 기본 명령어, 파이프라인, ImageMagick/FFmpeg 활용법, 역할별 체크리스트와 학습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공유하기: X/Twitter Facebook LinkedIn Telegram
저자
편집

유사한 자료

Google 이미지 ‘View Image’ 버튼 복원: 3가지 대안
검색 도구

Google 이미지 ‘View Image’ 버튼 복원: 3가지 대안

유튜브 인트로 제작 가이드와 추천 도구
영상 제작

유튜브 인트로 제작 가이드와 추천 도구

Cyberpunk 2077 Real Vendors Name 모드 설치 방법
게임 가이드

Cyberpunk 2077 Real Vendors Name 모드 설치 방법

YouTube 검색 기록 삭제·관리 가이드
프라이버시

YouTube 검색 기록 삭제·관리 가이드

Linux 터미널 기초 가이드: 명령어·파이프라인·예제
Guide

Linux 터미널 기초 가이드: 명령어·파이프라인·예제

YouTube 검색 기록 삭제·관리 완벽 가이드
Privacy

YouTube 검색 기록 삭제·관리 완벽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