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Gutsy Gibbon에서 SVN으로 rTorrent 컴파일하는 방법
소개
Torrent는 큰 파일을 빠르게 전송하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토렌트 클라이언트는 GUI 기반이라 시스템 자원을 많이 사용하지만(Azureus 등), rTorrent는 터미널에서 작동하는 경량 클라이언트입니다. screen 같은 세션 관리 도구와 함께 사용하면 원격에서 제어하기에도 적합합니다.
작성자: Stephan Jau
개정: v1.0
마지막 변경일: 2007년 10월 19일
사용법, 지원 채널
- rTorrent 홈페이지: https://github.com/rakshasa/rtorrent (공식 저장소 링크를 확인하세요)
- 기본 사용법 가이드: 위 저장소 및 위키 문서 참조
- IRC 지원 채널: irc.freenode.org #rtorrent, irc.worldforgenet.org #libtorrent
중요: 아래 명령은 일반 사용자 계정에서 실행한다고 가정합니다. 루트로 직접 로그인한 상태에서 실행하지 마세요.
전제 조건 및 가정
- 홈 디렉터리의 기본 위치를 사용합니다. 예시: ~/rtorrent에 SVN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이 튜토리얼은 Ubuntu Gutsy Gibbon(구형 배포판)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나, 현대적 Ubuntu에서도 유사한 절차가 적용됩니다(패키지명/버전 차이 주의).
요구 패키지 설치
다음 패키지들을 설치해야 합니다. automake는 1.4보다 최신이어야 합니다(예: 1.9 사용 가능).
sudo apt-get install subversion build-essential libtool automake1.9 openssl libcurl3 libcurl3-dev libsigc++-2.0-0c2a libsigc++-2.0-dev libncurses5 libncurses5-dev
간단 정의: automake — Makefile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도구입니다.
노트: 배포판별로 패키지 이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최신 Ubuntu에서는 automake로 설치됩니다.
다운로드 폴더 만들기
mkdir ~/rtorrent
폴더로 이동:
cd ~/rtorrent
현재 위치 예: /home/USER/rtorrent
SVN에서 최신 trunk 가져오기
svn co svn://rakshasa.no/libtorrent/trunk
trunk 디렉터리로 들어가기:
cd trunk
현재 위치 예: /home/USER/rtorrent/trunk
업데이트(최신 버전 반영):
svn up
libtorrent 빌드 및 설치
libtorrent은 rTorrent의 핵심 라이브러리입니다.
cd libtorrent
./autogen.sh
./configure
make
sudo make install
설치 후 시스템이 새 라이브러리를 찾도록 ld.so 설정을 갱신합니다.
echo "include /usr/local/lib" | sudo tee -a /etc/ld.so.conf
sudo ldconfig
노트: 배포판에 따라 /usr/local/lib가 기본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복 등록되면 큰 문제는 아니나, 불필요한 중복은 피하세요.
rTorrent 빌드 및 설치
cd ../rtorrent
./autogen.sh
./configure
make
sudo make install
설치 후 실행:
rtorrent
정상적으로 실행되면 터미널에서 rTorrent UI가 나타납니다. screen에서 실행하려면 screen 세션을 먼저 생성한 후 실행하세요.
업데이트 방법
rTorrent을 나중에 최신 SVN으로 업데이트하려면 trunk 디렉터리에서 다음 명령으로 시작하세요:
cd ~/rtorrent/trunk
svn up
그다음 libtorrent과 rTorrent의 빌드/설치(위 절차)를 반복합니다.
간단 체크리스트
- 일반 사용자로 로그인했는가?
- 필수 패키지를 모두 설치했는가?
- ~/rtorrent 디렉터리를 만들고 svn 체크아웃했는가?
- libtorrent 빌드 및 설치를 완료했는가?
- ld.so.conf를 갱신하고 ldconfig를 실행했는가?
- rTorrent를 빌드하고 실행했는가?
역할별 체크리스트
- 일반 사용자: 패키지 설치 권한(sudo), 홈 디렉터리 공간 확보, rtorrent 실행 테스트
- 서버 관리자: 서비스 자동 시작(systemd 스크립트), 보안/권한 설정, 로그 및 업타임 모니터링
문제 해결(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법)
- 컴파일 중 헤더나 라이브러리 없음: libcurl3-dev, libsigc++-dev 등 개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 automake 관련 오류: 설치된 automake 버전이 너무 낮으면 최신 automake 패키지를 설치하세요.
- rTorrent 실행 시 공유 라이브러리 로드 실패: /etc/ld.so.conf에 /usr/local/lib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sudo ldconfig 실행.
- 권한 문제: 설치 명령(sudo make install)을 실행할 때 적절한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
대안 및 추가 접근법
- 패키지 관리자에서 제공하는 바이너리를 사용하면 빌드 과정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SVN의 최신 기능이 필요하다면 소스 빌드가 필요합니다.
- 컨테이너(예: Docker)를 사용하면 호스트 시스템을 오염시키지 않고 빌드/실행 환경을 격리할 수 있습니다.
언제 소스 빌드가 실패하는지(예시)
- 매우 오래되었거나 매우 최신의 시스템에서는 의존성 버전 차이로 빌드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소스의 README와 의존성 요구사항을 확인하세요.
유지보수 팁
- 정기적으로 svn up으로 최신 변경을 받아 빌드 테스트를 하세요.
- 운영 중인 서버에서는 업그레이드 전에 테스트 환경에서 먼저 빌드와 동작 확인을 하세요.
용어 1줄
- SVN: 버전 관리 시스템(Subversion).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관리.
- autogen.sh: configure 스크립트와 Makefile을 생성하는 준비 스크립트.
FAQ
Q: Ubuntu 최신 버전에서도 이 방법을 써도 되나요?
A: 기본 절차는 유사하지만 패키지 이름과 버전, 의존성 관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당 배포판 문서를 확인하세요.
Q: rTorrent 설정 파일은 어디에 두나요?
A: 일반적으로 ~/.rtorrent.rc에 설정을 두고 필요 시 시스템 단위 설정을 별도로 관리합니다.
요약
이 가이드는 Ubuntu Gutsy Gibbon에서 rTorrent를 SVN에서 체크아웃해 빌드하고 설치하는 단계별 절차를 제공합니다. 핵심은 필요한 개발 패키지를 설치하고 libtorrent를 먼저 빌드한 뒤 rTorrent를 빌드·설치하는 것입니다. 업데이트 시에는 trunk에서 svn up을 수행한 뒤 동일한 빌드 절차를 반복하세요.
소셜 미리보기(권장): “Ubuntu Gutsy에서 SVN으로 rTorrent 소스 빌드하기 — 단계별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