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게임 속도 조작: MHS로 속도 해킹하는 방법

이 글은 모든 업적을 다 따서 하는 ‘완벽주의자’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대신 특정 레벨을 반복해서 깨지 못하거나, 속도를 늦춰 반응 시간을 벌고 싶거나, 스피드런에서 타임을 조절해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실용 가이드다.
때때로 짜증나는 컷신을 건너뛰거나 게임을 슬로우 모션으로 만들어 반응 시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런 조작이 부정행위로 간주될 수 있지만, 오프라인 개인용 연습이나 접근성을 위해 사용한다면 실용적이다. 아래는 Windows 프로세스 속도를 직접 조절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핵심 개념 한 줄 정의
- 메모리 에디터: 실행 중인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와 속성을 읽고 쓰는 도구.
- 스피드핵: 프로세스의 타이밍 루프를 조절해 전체 실행 속도를 바꾸는 기법.
필요한 준비물
- Windows PC(Windows XP 이상 권장)
- L. Spiro의 Memory Hacking Software(MHS)
- 대상 게임(오프라인 단일 플레이 권장)
- 관리자 권한 권장
중요: 대부분의 백신 소프트웨어는 MHS를 악성으로 탐지할 수 있다. 이는 오탐(false positive)인 경우가 많으며,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받았다면 예외 처리(ignore)하면 된다. 그러나 항상 최신 백신과 샌드박스 환경을 활용해 안전을 확인하라.
1단계 — 게임 선택하기
단계는 단순하다. MHS를 실행한 뒤 속도를 조절하려는 게임을 실행하라. 서버 기반 게임(MMO, 온라인 경쟁 게임 등)에 적용하면 제재를 받을 수 있으므로, 오프라인에서 동작하는 싱글 플레이 게임에만 적용하라.
2단계 — MHS에 프로세스 로드하기
게임 창을 띄운 상태로 MHS로 돌아간다. 메뉴에서 File → Open Process를 선택한다. 실행 중인 게임의 프로세스 이름을 알아야 한다. 모르면 작업 관리자를 열어 확인하면 된다.
작업 관리자에서 Windows 열(또는 프로세스 이름 표시 열)을 보면 대상 프로세스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예시: The Binding of Isaac의 프로세스는 목록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원하는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확인(OK)을 누르자.
3단계 — 속도 적용하기
MHS 메뉴에서 Tools → Speed Hack을 선택한다. 여기서 프로세스 속도를 적용할 수 있다. 창에 분자(numerator)와 분모(denominator)를 입력해야 한다. 분수 개념은 초등학교 때 배운 것과 같다.
- 게임을 느리게 하려면 분모(denominator)가 분자보다 커야 한다.
- 게임을 빠르게 하려면 분자가 분모보다 커야 한다.
예시: 분자 1, 분모 2를 입력하면 실행 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든다. 반대로 분자 2, 분모 1을 입력하면 2배 빠르게 된다.
속도 변경은 프로세스 타이밍 루틴 전체에 영향을 준다. 즉 물리 연산, 애니메이션, 입력 지연 등도 같이 변할 가능성이 있다.
4단계 — 동작 확인 및 미세 조정
게임으로 돌아가 테스트한다. 속도를 빠르게 하면 캐릭터 이동과 애니메이션이 전반적으로 빨라진다. 느리게 하면 반응 시간이 늘어나고 복잡한 입력을 단계별로 연습하기 쉬워진다. 간단한 게임에서는 거의 즉시 효과가 난다.
중요: 모든 게임에서 완벽히 동작하지는 않는다. 게임이 여러 프로세스나 컨테이너(예: 런처 + 실제 게임 프로세스)를 쓰거나, 자체적으로 타이밍을 처리하는 엔진(서버 동기화, 독립 타이머)을 쓰면 기대한 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언제 실패하는가(대표적 사례)
- 게임이 서버 측에서 핵심 타이밍을 검증하는 경우: 클라이언트 속도 조절이 의미 없음.
- 여러 프로세스로 실행되는 게임: 올바른 프로세스를 찾지 못하면 효과 없음.
- 엔진이 하드웨어 타이머를 직접 사용하거나, 프로세스 단위가 아닌 스레드 단위로 타이밍을 관리할 때.
- 안티치트가 속도 조작을 탐지하는 경우(특히 온라인 게임).
대안 방식
- 내장 프레임 제한기 또는 ‘slow motion’ 기능 사용: 게임 자체의 옵션을 먼저 확인하라.
- 에뮬레이터의 프레임 스키핑/속도 조절(레트로/콘솔 게임 연습 시 효과적).
- 외부 프레임 제한 소프트웨어(FPS cap) 또는 그래픽 드라이버 설정.
- 트레이너(trainer)나 모딩 커뮤니티에서 제공하는 모드(오프라인 전용).
안전 및 윤리 가이드
- 온라인 멀티플레이에서는 절대 사용하지 마라. 계정 정지나 밴이 발생할 수 있다.
- 백신의 오탐은 흔하지만, 신뢰하지 않는 출처에서 받은 툴은 사용하지 마라.
- 연습용, 접근성 개선, 리플레이 스피드 조절 등 합리적 목적에 한정하라.
전문가용 팁과 휴리스틱
- 작은 단계로 시험하라: 예를 들어 1.0→0.9→0.8 순으로 줄여서 부작용을 관찰한다.
- 빠르게 늘리기보다 느리게 줄여가며 입력 응답과 물리 엔진의 불안정성을 체크하라.
- 여러 세션에서 동일한 설정이 일관되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라. 게임 재시작마다 재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간단한 점검표(롤별)
- 게이머(연습 목적): 게임을 오프라인으로 설정, 백업 저장, 속도 조절 시 시나리오 기록.
- 스트리머/제작자: 관중에게 투명하게 알림, 오프라인 녹화에서만 사용.
- 연구자/접근성 도우미: 실험 조건 기록, 접근성 세션에서만 사용.
재현 가능 플레이북(간단 SOP)
- MHS 설치 및 백신 예외 설정.
- 게임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필요 시).
- MHS에서 File → Open Process로 대상 프로세스 선택.
- Tools → Speed Hack에서 분자/분모 입력.
- 게임으로 돌아가 동작 확인 후 필요시 핫키로 토글.
- 세션 끝나면 원래 속도로 복구 후 저장 파일 백업.
문제 해결(트러블슈팅)
- 아무 변화가 없다: 올바른 프로세스를 선택했는지 재확인.
- 게임이 충돌함: 속도를 원래대로 되돌리고 게임 로그 확인.
- 입력 지연이 심해짐: 너무 낮은 분수로 설정했을 가능성, 조금 올려라.
호환성 및 마이그레이션 팁
- Windows XP 부터 동작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신 Windows에서는 관리자 권한과 호환성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 64비트 프로세스와 32비트 MHS 간의 호환성 문제를 확인하라. 가능한 최신 버전 사용.
1줄 용어집
- MHS: L. Spiro의 Memory Hacking Software, 프로세스 메모리 및 속도 조절 도구.
- 분자/분모: 속도 비율을 표현하는 값, 분자/분모가 클수록 전체 비율이 커짐.
결론 및 권장사항
MHS로 진행하는 속도 조절은 간단하고 강력한 도구다. 단, 오프라인 환경과 연습 목적에 한정해 사용하라. 백업과 안전한 실행 환경을 갖춘 뒤, 작은 단계로 실험하고 기록을 남기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요약: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먼저 게임 내 옵션을 확인하라. 온라인 게임에는 절대 사용하지 말고, 문제가 생기면 즉시 원래대로 복구하라.
중요: 이 팁이 도움이 됐다면 어떤 게임에서 속도 조절이 특히 유용했는지 댓글로 알려 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