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에서 저장된 Wi‑Fi 비밀번호 확인하는 방법

현대에는 여러 Wi‑Fi 네트워크가 흔합니다. 근처에 저장된 네트워크가 있다면, 안드로이드에서 해당 네트워크의 비밀번호를 확인해 다른 기기에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Android에서 저장된 Wi‑Fi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을 쉬운 단계로 설명합니다. 각 방법의 전제 조건과 실패 사례, 보안 주의사항도 함께 제공합니다.
목차
- TL;DR
- 준비물 및 주의사항
- 방법 1: Android 10 이상 — 루트 불필요 (권장)
- 방법 2: 루팅된 기기 — 시스템 파일에서 직접 확인(고급 사용자)
- 언제 실패하는가(예외 사례)
- 대안 방법
- 체크리스트 및 역할별 가이드
- 간단 용어집
- 요약 및 권장사항
준비물 및 주의사항
- 필요한 항목: Android 기기, 기기 잠금 해제 인증(지문/비밀번호), 루팅 여부 파악
- 주의: 시스템 파일을 직접 수정하지 마세요. 파일 편집은 Wi‑Fi 설정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타인의 네트워크 비밀번호를 무단으로 수집하거나 사용하는 것은 법적/윤리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Important: Android 설정에서 제공하는 공유 기능으로 QR을 통한 연결은 가장 안전하고 간단한 방법입니다. 루팅은 위험을 수반합니다.
방법 1: Android 10 이상 — 루트 없이 비밀번호 보기 (권장)
이 방법은 대부분의 최신 기기에서 동작합니다. Android 10(Q)부터 저장된 Wi‑Fi 정보를 QR 코드로 공유하는 기능이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 설정 앱을 엽니다(설정 아이콘).
- “네트워크 및 인터넷”(또는 “연결” 메뉴)로 이동합니다. 기기 제조사마다 메뉴 이름이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 “Wi‑Fi” 또는 “무선 및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 “저장된 네트워크” 또는 “저장된 Wi‑Fi 네트워크”를 탭합니다.
- 목록에서 확인하려는 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
- “공유” 버튼을 탭합니다. 이때 기기 잠금 해제(지문·PIN·패턴 등)를 요구합니다. 기기 소유자 본인만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잠금 해제 후 표시되는 QR 코드는 SSID와 비밀번호 정보를 포함합니다. QR 아래에 비밀번호 텍스트가 직접 표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다른 기기로 QR을 스캔하거나, 보이는 텍스트 비밀번호를 수동 입력하면 됩니다.
노트: 제조사 커스텀 UI(삼성 One UI, Xiaomi MIUI 등)에서는 메뉴 경로가 다를 수 있습니다. 메뉴를 찾기 어렵다면 설정 상단의 검색창에 “Wi‑Fi”나 “저장된 네트워크”를 입력해 찾아보세요.
방법 2: 루트 탐색기 사용 — 루팅된 기기에서 시스템 파일 확인(고급)
이 방법은 기기가 이미 루팅되어 있고, 루트 파일 접근 권한을 신뢰할 수 있는 파일 탐색기 앱을 사용할 수 있을 때만 권장합니다. 루팅을 하지 않은 기기에서는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중요: 시스템 파일을 수정하면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읽기만 하고 절대 저장(편집)하지 마세요.
- 루트 권한을 지원하는 파일 탐색기 앱을 설치합니다(예: 루트 기능을 제공하는 앱). Play 스토어 정책과 앱 상태는 수시로 변하므로, 최신 추천 앱을 확인하세요.
- 앱을 열고 루트 액세스(Root Access)를 활성화합니다. 확인창이 뜨면 허용을 선택합니다.
- 로컬(파일 시스템) → Device(디바이스 루트)로 이동합니다.
- 디렉터리 /data/misc/wifi 로 들어갑니다.
- 파일 wpa_supplicant.conf 또는 소유자 구성 파일을 찾습니다.
- 앱 내 텍스트 뷰어로 파일을 열고 network={…} 블록에서 ssid=”…”와 psk=”…” 값을 찾습니다.
예시(읽기용):
network={ ssid=”MyWiFi” psk=”password123” key_mgmt=WPA-PSK }
주의: 일부 최신 기기나 Android 버전은 wpa_supplicant.conf 대신 다른 저장소(암호화된 형식)나 시스템 권한으로 보호합니다. 또한 제조사별 보안 정책 때문에 이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읽을 수 없을 수 있습니다.
언제 실패하는가 — 예외 및 제한 사항
- Android 9 이하: 기본 설정만으로는 비밀번호를 보기 어렵습니다(공유 기능 미지원).
- 루팅되지 않은 구형 기기: wpa_supplicant.conf 접근 불가.
- 제조사별 암호화/보안: 일부 제조사는 비밀번호를 암호화하거나 별도 저장소에 둡니다.
- 회사/학교 장비: MDM(모바일 디바이스 관리)이나 프로필로 보호되는 네트워크는 접근이 제한됩니다.
- 타인의 네트워크: 법적·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유자 동의 없이 비밀번호를 수집하거나 사용하는 것은 금지될 수 있습니다.
대안 방법
- 라우터 관리자 페이지 확인: 라우터에 물리적으로 접근 가능하면 관리자 페이지(일반적으로 192.168.0.1 등)에 로그인해 SSID/비밀번호를 확인하거나 새 비밀번호로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 공유 기능으로 연결: Android 10 이상의 기기끼리는 QR로 간편 공유.
- ADB(개발자 옵션) 사용: 컴퓨터와 USB 디버깅을 이용해 기기에서 파일을 추출할 수 있으나 개발 지식이 필요합니다.
- 네트워크 소유자에게 직접 요청: 가장 안전하고 합법적인 방법입니다.
역할별 체크리스트 (간단)
일반 사용자
- Android 버전 확인(Android 설정 → 시스템 → 휴대전화 정보)
- 저장된 네트워크 목록에서 공유 기능 사용
- QR 스캔으로 연결
관리자(가정용 라우터 관리자)
- 라우터 관리자 페이지 접속 정보 확인
- 필요시 Wi‑Fi 비밀번호 재설정
- 게스트 네트워크 사용 권장
보안 담당자/IT
- MDM 정책 적용 여부 확인
- 기기 루팅 금지 정책 실행
- Wi‑Fi 비밀번호 관리 절차 수립(주기적 변경, 강력한 비밀번호)
체크리스트 템플릿 (복사해서 사용)
- Android 버전 확인
- 해당 네트워크가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
- 기기 잠금 해제(지문/PIN) 준비
- 루트 접근 시 백업 및 비편집 원칙 준수
- 네트워크 소유자 동의 확보
간단 용어집
- SSID: 무선 네트워크 이름
- PSK: 사전에 공유된 키(Pre‑Shared Key), 일반적으로 Wi‑Fi 비밀번호
- wpa_supplicant.conf: 과거 Android에서 Wi‑Fi 자격 증명을 담던 시스템 파일
- 루트(Root): Android에서 관리자 권한(시스템 전체 접근 권한)
간단한 의사결정 흐름(머메이드)
flowchart TD
A[기기 유형 확인] --> B{Android 버전 >= 10?}
B -- 예 --> C[설정 → 저장된 네트워크 → 공유로 확인]
B -- 아니오 --> D{기기 루팅됨?}
D -- 예 --> E[루트 파일 탐색기로 /data/misc/wifi 확인]
D -- 아니오 --> F[라우터 관리자 페이지 또는 소유자에게 요청]
보안 및 개인정보 고려사항
- 기기 잠금 해제가 필요한 공유 기능은 소유자 인증을 전제로 합니다. 다른 사람의 기기에서 이를 시도하지 마세요.
- 루트 접근은 보안 취약점을 만들 수 있습니다. 루팅하게 된 경우 정기적으로 보안 점검을 하세요.
- 회사/기관 기기는 IT 정책을 준수하세요. 무단으로 정보를 추출하면 징계 또는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테스트 케이스(성공/실패 기준)
성공 기준
- Android 10+ 기기에서 설정의 공유로 QR 또는 비밀번호가 표시된다.
- 루팅 기기에서 wpa_supplicant.conf를 읽어 ssid/psk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실패 기준
- 설정 메뉴에 공유 항목이 없거나 QR이 생성되지 않음
- wpa_supplicant.conf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권한으로 접근 불가
요약 및 권장사항
- 가장 쉬운 방법: Android 10 이상이면 설정의 “저장된 네트워크” → “공유” 사용.
- 고급 방법: 루트 기기에서 시스템 파일(wpa_supplicant.conf)을 읽어 비밀번호 확인 가능하나 위험함.
- 법적·윤리적 측면: 타인의 네트워크 비밀번호를 무단으로 수집하거나 사용하지 마세요.
Notes: 이 문서는 기술적인 절차와 안전 수칙을 안내하기 위한 것입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소유자 동의를 얻고 시스템 파일은 절대 변경하지 마십시오.
더 읽어보기:
- Microsoft Offers a Huge Sum to Hack into their Custom Linux OS
- A Revolution in 3D Metal Printing Using New Technology
- Launch of Poco F2 Pro Likely to be on May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