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의 높은 CPU 사용량 문제 해결
문제 개요
Windows 작업 관리자에서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또는 CompatTelRunner.exe) 프로세스가 많은 CPU 또는 디스크 자원을 차지하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이 프로세스는 Microsoft가 시스템 성능과 호환성 관련 기술 정보를 수집하는 텔레메트리 서비스입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향후 업데이트와 문제 해결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때때로 이 프로세스가 과도하게 작동하여 시스템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원인은 운영체제 문제, 텔레메트리 서비스의 일시적인 오류, 업데이트 지연, 시스템 파일 손상, 또는 악성코드 감염 등 다양합니다. 아래에서는 원인별로 적용 가능한 점검 방법과 해결 절차를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jpg?w=1600&h=900&fit=crop)
주요 원인 요약
- 시스템 파일 손상이나 호환성 문제로 인해 텔레메트리 프로세스가 반복 작업을 수행함
- 업데이트가 누락되어 데이터 수집 또는 처리 로직에 문제가 생김
- 백그라운드에서 대량의 진단 데이터 업로드/처리 작업이 발생함
- 시스템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텔레메트리 서비스가 과다 부하를 겪음
- 스케줄러에서 텔레메트리 작업이 사용자 활동 시간에 걸려 실행됨
사전 점검
먼저 간단히 점검할 항목들입니다. 문제 해결의 기본 단계이니 꼭 수행하세요.
-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닫습니다. 특히 멈추거나 비정상 동작 중인 앱을 먼저 종료하세요.
- 시스템을 재시작하여 일시적 문제를 배제합니다.
- Windows 업데이트를 모두 적용합니다. 업데이트 누락으로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를 방지합니다.
- 악성코드 검사를 수행합니다. Microsoft Defender 오프라인 검사 등을 권장합니다.
- SFC(System File Checker)와 DISM(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검사를 실행하여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복구합니다.
SFC와 DISM 명령의 간단한 실행 순서(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
- sfc /scannow
-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이 기본 점검으로 문제가 해결되면 추가 작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아래 세부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적용하세요.
1 단계 서비스 재시작: 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
텔레메트리 관련 서비스의 일시적인 오류를 해결하려면 “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이 작업은 서비스 상태의 리프레시로 즉시 효과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절차:
- Windows 검색에서 “Services” 를 입력하여 Services 앱을 엽니다.
- 목록에서 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 항목을 찾습니다.
- 해당 항목을 우클릭한 뒤 Restart(다시 시작) 를 클릭합니다.
재시작 후에도 CPU 사용량이 감소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를 진행하세요.
2 단계 설정 변경: 진단 및 피드백 데이터 제한
Windows가 선택적 진단 데이터를 Microsoft로 보내지 않도록 설정을 변경하면 텔레메트리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화된 권장사항(맞춤형 환경)을 끄면 추가 리소스 사용을 줄입니다. 단, 진단 데이터를 삭제하면 일부 맞춤 업데이트나 보안 권고를 받지 못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절차:
- Windows 시작 버튼을 우클릭하고 설정을 엽니다.
- 개인정보 및 보안 탭으로 이동합니다.
- Windows 권한 항목 아래의 진단 및 피드백을 엽니다.
- 선택적 진단 데이터 보내기 토글을 끕니다.
- 맞춤형 환경(Tailored experiences) 도 확장하여 토글을 끕니다.
- 이전에 수집된 진단 데이터가 있다면 진단 데이터 삭제에서 삭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 작업은 리소스 사용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진단 데이터 삭제는 보안 업데이트와 맞춤형 개선 사항을 일부 포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모든 옵션을 적용하기 전에 장단점을 고려하세요.
3 단계 작업 일정 조정: 작업 스케줄러(Task Scheduler)
기본적으로 텔레메트리 관련 작업은 Task Scheduler에서 정기적으로 실행됩니다. 실행 트리거를 재설정하여 사용 중이 아닐 때만 실행되도록 하거나, 실행 시간과 최대 실행 시간을 제한하면 작업 중인 시간대에 시스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절차:
- Windows 검색에서 “Task Scheduler” 를 입력해 Task Scheduler 앱을 엽니다.
- 좌측 트리에서 Task Scheduler Library > Microsoft > Windows > Application Experience 로 이동합니다.
- Microsoft Compatibility Appraiser 작업을 더블클릭합니다.
- Triggers 탭으로 가서 활성화된 트리거를 더블클릭합니다.
- 트리거를 “장치가 유휴 상태일 때만 실행”으로 변경하거나,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지 않는 시간으로 재스케줄링합니다.
- “Stop task if it runs longer than”(작업이 지정 시간 이상 실행되면 중지) 옵션을 체크하고 제한 시간을 설정합니다.
- 설정을 저장하려면 OK 를 클릭합니다.
- Settings 탭으로 이동하여 Run task as soon as possible after a scheduled start is missed(예약 시작을 놓친 경우 가능한 한 빨리 작업 실행) 옵션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이 변경으로 인해 텔레메트리 작업이 사용 중인 시간에 실행되어 시스템을 방해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4 단계 손상된 CompatTelRunner.exe 파일 교체
CompatTelRunner.exe는 텔레메트리 작업을 실행하는 핵심 실행 파일입니다. 파일이 손상되면 반복 실행 또는 예외가 발생해 CPU 사용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SFC나 DISM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다른 정상 시스템에서 실행 파일을 가져와 교체할 수 있습니다.
절차 요약:
-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 파일 소유권을 가져옵니다.
명령 예시(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
takeown /f C:\Windows\System32\CompatTelRunner.exe
- 다른 정상 동작하는 Windows 시스템에서 동일한 파일을 복사한 후, 문제 시스템의 C:\Windows\System32\ 폴더에 덮어씁니다. 복사 전에 대상 시스템에서 해당 파일의 디지털 서명과 파일 버전을 확인하세요.
- 파일 교체 후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CPU 사용량 변화를 관찰합니다.
주의: 시스템 파일을 수동으로 교체하는 작업은 관리자 권한과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잘못된 파일을 복사하면 시스템 불안정이나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단계 마지막 수단: 텔레메트리 비활성화
위 모든 방법을 시도한 뒤에도 문제가 지속되면 텔레메트리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텔레메트리 비활성화는 업데이트 개선, 호환성 진단, 맞춤형 권고 등을 받을 수 없게 만들므로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하세요.
비활성화 방법 예시:
-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진단 수준을 0으로 설정(권장하지 않음: 레지스트리 편집은 위험함)
- 그룹 정책 편집기에서 진단 및 사용량 데이터 수집을 비활성화
- Task Scheduler에서 관련 작업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
- 관련 서비스를 중지하거나 사용 안 함으로 설정
자세한 단계는 Windows 버전과 에디션(예: Home/Pro/Enterprise)에 따라 달라집니다. 변경 전에 전체 시스템 백업을 권장합니다.
언제 이 방법들이 잘 통하지 않는가
- 시스템에 루트킷 수준의 악성코드가 존재하면 일반적인 악성코드 검사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전문 복구 도구나 오프라인 부팅 검사 도구가 필요합니다.
- 기업 환경에서 중앙 관리되는 정책(GPO)에 의해 텔레메트리 설정이 강제된 경우 사용자가 로컬에서 변경해도 재설정될 수 있습니다. IT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운영체제 자체의 심각한 손상(예: 시스템 이미지가 심하게 깨진 경우)은 Windows 재설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 흐름도
다음 간단한 흐름도를 통해 어느 단계부터 시작할지 빠르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flowchart TD
A[문제 감지: 높은 CPU 사용] --> B{간단 점검으로 해결?
'업데이트, 재시작, 악성코드 검사, SFC/DISM'}
B -- 예 --> Z[문제 해결]
B -- 아니오 --> C[서비스 재시작]
C --> D{CPU 감소?}
D -- 예 --> Z
D -- 아니오 --> E[진단 데이터 설정 변경]
E --> F{CPU 감소?}
F -- 예 --> Z
F -- 아니오 --> G[작업 스케줄러에서 실행 시간 및 제한 설정]
G --> H{CPU 감소?}
H -- 예 --> Z
H -- 아니오 --> I[CompatTelRunner.exe 교체]
I --> J{CPU 감소?}
J -- 예 --> Z
J -- 아니오 --> K[텔레메트리 비활성화'최후 수단']
K --> Z
역할별 체크리스트
관리자(개인 사용자):
- Windows 업데이트 적용
- SFC 및 DISM 실행
- 서비스 재시작(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
- 진단 및 피드백 설정에서 선택적 데이터 전송 비활성화
- Task Scheduler에서 Microsoft Compatibility Appraiser 재설정
- 필요한 경우 안전한 시스템에서 CompatTelRunner.exe 복사 및 교체
IT 관리자(기업 환경):
- 그룹 정책(GPO)로 강제되는 텔레메트리 정책 확인
- 중앙 로그와 엔드포인트 관리 시스템에서 동시 문제 여부 조사
- 악성코드 스캔 결과 및 네트워크 트래픽(진단 데이터 송수신) 분석
- 필요 시 엔터프라이즈 업데이트 및 호환성 패치 배포
지원 담당자(헬프데스크):
- 사용자로부터 문제 재현 단계 수집(언제, 어떤 작업 중인지)
- 작업관리자 프로세스 스냅샷과 로그 확보
- 위 단계를 순서대로 안내하고 결과 기록
운영 표준 절차(SOP) 요약
- 고객 신고 접수: 작업관리자 스냅샷과 이벤트 타임라인 확보
- 기본 점검: 업데이트, 재부팅, 악성코드 검사, SFC/DISM
- 서비스 재시작 및 스케줄 조정
- 파일 무결성 검사 및 필요 시 교체
- 최종적으로 텔레메트리 비활성화로 임시 완화(정책 준수 확인)
- 변경 사항 기록 및 모니터링
간단 용어집(1줄)
- 텔레메트리: 시스템 상태와 사용 정보를 원격으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과정
- SFC: 손상된 시스템 파일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Windows 내장 도구
- DISM: Windows 이미지의 문제를 진단하고 복구하는 도구
- CompatTelRunner.exe: Microsoft 텔레메트리 수집을 담당하는 실행 파일
위험 및 완화 전략
- 데이터 삭제로 인한 업데이트·보안 알림 누락 위험: 변경 전 복구 지점 생성 권장
- 레지스트리나 시스템 파일 수동 변경 위험: 충분한 백업 후 작업
- 기업 정책 충돌 위험: IT 관리자와 사전 조율
요약 및 권장 순서
- Windows 업데이트, 재시작, 악성코드 검사, SFC/DISM을 먼저 실행하세요.
- 서비스(Connected User Experiences and Telemetry)를 재시작하세요.
- 진단 및 피드백 설정에서 선택적 데이터 전송과 맞춤형 환경을 끄세요.
- Task Scheduler에서 Microsoft Compatibility Appraiser의 트리거와 실행 시간을 조정하세요.
- 파일 손상 의심 시 CompatTelRunner.exe를 교체하세요.
- 모든 방법이 실패하면 텔레메트리 비활성화를 검토하되, 사전 백업과 정책 검토를 필수로 하세요.
문제가 해결되면 변경한 설정과 조치 사항을 문서화하고, 동일 이슈의 재발 방지를 위해 모니터링을 권장합니다.
요약 요점:
- 텔레메트리 자체는 유용하지만,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면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점진적 접근(간단 점검 → 서비스 재시작 → 설정 변경 → 파일 교체 → 비활성화)을 따르세요.
- Enterprise 환경에서는 로컬 변경이 정책에 의해 덮어써질 수 있으므로 IT와 협의하세요.
감사합니다. 문제가 계속되면 작업 관리자 스냅샷과 이벤트 로그를 준비해 추가 지원을 요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