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No Boot Device Found" 오류 해결 가이드

이 문서는 Dell 계열 장치에서 자주 발생하는 “no boot device found, press any key to reboot the machine” 오류의 원인과 단계별 해결법을 정리한 실무 가이드입니다. 다른 제조사의 장치에도 동일한 원칙이 적용되지만, BIOS 진입 키나 메뉴 위치는 제조사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문제의 의미와 주요 원인
“no boot device found, press any key to reboot the machine” 메시지는 운영체제가 설치된 저장장치에 접근하지 못해 부팅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부트 장치는 일반적으로 HDD, SSD, 또는 외장 드라이브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요약:
- 저장장치 물리적 연결 문제(케이블 느슨함, 단자 손상)
- 저장장치 자체의 하드웨어 고장
- BIOS/UEFI 설정 오류(부트 모드, 시퀀스 등)
- 부트 파티션 손상 또는 운영체제 부트 로더 문제
정의: 부트 로더 —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기 위해 저장장치에서 실행되는 작은 프로그램입니다.
Important: 하드웨어 결함인 경우 소프트웨어 조치로 해결되지 않으므로 진단 결과를 기준으로 조치하세요.
빠른 체크리스트 (우선 순위)
- 전원 완전 차단 후 재시작해도 동일한지 확인합니다.
- BIOS/UEFI에서 저장장치가 인식되는지 확인합니다.
- 내장 진단(Diagnostics)을 실행해 저장장치 상태를 검사합니다.
- 부팅 순서(Boot Sequence)를 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가 최상단에 오도록 설정합니다.
- BIOS 기본값을 복원해 잘못된 설정을 되돌립니다.
- 드라이브가 여전히 인식되지 않거나 진단에서 오류가 나오면 하드웨어 수리를 의뢰합니다.
읽기 전 유의사항
- 노트북의 경우 내부 드라이브 분해가 보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제조사 보증 상태를 확인하세요.
- 데스크톱은 전원 차단 후 케이블을 점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1 단계: 저장장치가 인식되는지 확인하고 연결을 점검하세요
윈도우가 설치된 드라이브가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BIOS에서 감지되는지 확인합니다.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원 버튼을 몇 초간 눌러 장비를 끕니다.
- 전원을 다시 켜고 부팅 중에 반복해서 F2 키를 눌러 BIOS/UEFI 설정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Dell 외 제조사는 BIOS 진입 키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좌측 메뉴에서 System Information을 선택합니다.
- 우측의 Device Information 섹션에서 주(주요) 저장장치(HDD/SSD)가 목록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저장장치가 목록에 보이면 물리 연결은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 경우 다음 단계(진단 또는 부팅 순서 확인)로 진행하세요. 목록에 없다면 장치가 인식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Note: 데스크톱이라면 전원을 분리한 뒤 케이블(전원, SATA)을 재연결해 보세요. 노트북은 분해가 필요할 수 있어 자신이 없다면 전문가에게 맡기세요.
2 단계: 진단(Diagnostics) 실행으로 하드웨어 상태 확인
진단 도구는 저장장치의 물리적 결함 유무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단계:
- 전원 버튼을 눌러 장비를 끕니다.
- 전원을 켜고 부팅 중 F12 키를 반복해서 누릅니다.
- 부팅 메뉴에서 Diagnostics를 선택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 다음 창에서 Yes를 선택해 테스트를 시작합니다.
진단이 완료되면 저장장치에 대한 오류 코드나 상태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오류가 나오면 오류 메시지를 기록해 두세요. 이는 수리 시 기술자에게 중요한 정보입니다.
조치 가이드:
- 진단 결과 “드라이브 연결 불량” 또는 “드라이브 실패” 등이 나오면 내부 케이블을 점검하거나 드라이브 교체가 필요합니다.
- 진단에서 이상이 없다면 소프트웨어(부트 로더, 부팅 순서)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Important: 노트북에서는 내부 접근이 어렵고 보증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니 무리한 분해를 하지 마세요.
3 단계: 부팅 순서 변경으로 올바른 드라이브를 최우선에 두기
부팅 순서(Boot Sequence)는 컴퓨터가 어떤 장치에서 먼저 부팅을 시도할지 결정합니다. 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를 최상단으로 이동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전원 버튼을 눌러 장치를 끕니다.
- 전원을 켜고 F2 키를 눌러 BIOS로 진입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Boot Sequence를 선택합니다.
- Boot List Option에서 Legacy를 선택하면 부팅 시퀀스 설정이 노출됩니다.
- 부트 시퀀스 목록에서 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HDD/SSD)의 체크박스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해당 드라이브가 목록 상단에 없으면 선택한 뒤 위쪽 화살표로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 설정을 저장하려면 Apply를 클릭한 뒤 Exit를 선택해 재부팅합니다.
Note: UEFI 모드에서 부팅 문제가 반복된다면 UEFI와 Legacy(혹은 CSM) 모드 간 전환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가 설치된 모드와 일치하도록 설정하세요.
4 단계: BIOS 설정을 기본값으로 복원하기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해 부팅 문제가 발생한 경우 BIOS를 기본값으로 복원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절차:
- 전원을 끕니다.
- 전원을 켜고 F2로 BIOS에 진입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General을 선택합니다.
- Load Defaults를 클릭합니다.
- 경고 팝업에서 OK를 클릭합니다.
- Exit를 눌러 재부팅합니다.
주의: 이 작업은 BIOS에 적용한 모든 사용자 설정을 초기화합니다. 커스텀 팬 설정, 가상화 옵션, 오버클럭 등 별도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체 접근법 및 추가 진단 방법
- 외장 부팅 미디어로 부팅 시도: USB 또는 설치 미디어로 부팅해 디스크 파티션과 파일 시스템을 확인합니다.
- 복구 환경에서 부트 로더 복구: 윈도우 설치 미디어의 복구 옵션에서 자동 복구(Startup Repair) 또는 명령 프롬프트로 bcdboot,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등을 실행합니다.
- 라이브 리눅스 USB로 드라이브 접근: 리눅스 라이브 환경에서 드라이브를 마운트해 데이터 백업을 먼저 수행하세요.
대체 방법이 효과적일 때:
- 저장장치 물리적 문제 없이 부트 로더 또는 파티션 테이블이 손상됐을 때
- 운영체제가 설치된 드라이브가 인식되지만 부팅이 실패할 때
언제 대체 방법이 실패하는가:
- 저장장치가 물리적으로 손상되어 읽기/쓰기 불가일 때
- 인터페이스(예: SATA 포트) 자체가 고장난 경우
사례별 점검표 (롤모델별 체크리스트)
노트북(사용자):
- 전원 제거 후 배터리(분리형)가 있으면 분리하고 30초 대기
- 전원 케이블만 연결해 부팅 시도
- BIOS에서 저장장치 인식 여부 확인
- 진단 결과 오류 시 서비스 센터 문의
데스크톱(사용자 또는 IT 담당자):
- 전원 차단 후 SATA/전원 케이블 확인
- 동일 케이블로 정상 동작하는 다른 포트에 연결해 확인
- 다른 컴퓨터에 드라이브 연결해 인식 여부 점검
IT 운영팀(관리자):
- RAID 환경이면 RAID 상태와 컨트롤러 로그 확인
- 펌웨어/드라이브 호환성 확인
- 최근 BIOS/UEFI 업데이트 내역 확인
SOP: 문제 해결 플레이북 (간단한 단계별 절차)
- 사용자로부터 오류 메시지와 증상 수집
- 원격으로 가능한 경우 전원 재시작 및 이벤트 로그 확인
- BIOS에서 저장장치 감지 여부 확인
- 진단 실행(Diagnostics)
- 저장장치 인식/진단 통과 → 부트 순서 확인 및 복구 실행
- 저장장치 미인식 또는 진단 실패 → 물리적 점검/교체 또는 기술자 의뢰
- 수리 후 복구 검증(재부팅, OS 진입 확인, 데이터 무결성 확인)
롤백/복구 시나리오:
- BIOS 설정 변경 후 문제가 생기면 즉시 Load Defaults로 복원
- 펌웨어 업데이트 후 문제 발생 시 원래 펌웨어로 롤백(가능하면)
테스트 케이스와 수락 기준
테스트 케이스 예시:
- TC1: BIOS에서 드라이브 인식 확인
- 수락 기준: 운영체제 설치 드라이브가 Device Information에 표시되어야 함
- TC2: Diagnostics 실행
- 수락 기준: 저장장치 관련 에러가 없어야 함
- TC3: 부팅 순서 변경 후 부팅 성공
- 수락 기준: 운영체제로 정상 진입
언제 전문가에게 맡겨야 하나
- 진단에서 하드웨어 오류(예: SMART 실패)가 보고된 경우
- 내부 접근이 보증을 무효화할 위험이 있는 노트북인 경우
- 데이터를 우선 복구해야 하는 상황(데이터 손실 위험이 높은 경우)
호환성 및 이주(마이그레이션) 팁
- UEFI로 설치된 윈도우는 UEFI 모드로 부팅해야 합니다. Legacy(CSM)로 바꾸면 부팅 불가가 될 수 있습니다.
- 새 SSD로 교체 시 기존 드라이브를 클론하면 부트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클론 도구는 UEFI/MBR 차이를 확인해 사용하세요.
요약 및 권장 순서
- 먼저 BIOS에서 드라이브 인식을 확인하세요.
- 진단을 실행해 하드웨어 상태를 점검하세요.
- 부팅 순서를 조정하거나 BIOS 기본값을 복원해 보세요.
- 하드웨어 이상이면 전문가에게 수리를 의뢰하세요.
요약: 대부분의 경우 저장장치 인식 문제나 부팅 순서 설정으로 해결됩니다. 그러나 드라이브 물리적 고장일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FAQ
Q: “No Boot Device Found” 오류가 갑자기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가요?
A: 보통 저장장치 연결 불량, 저장장치 자체 고장, BIOS 설정 변경, 또는 부트 로더/파티션 손상 때문입니다. 진단과 BIOS 확인이 첫 단계입니다.
Q: BIOS에서 드라이브가 보이지 않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데스크톱이면 전원 차단 후 SATA/전원 케이블을 재연결해 보세요. 노트북이면 분해가 필요할 수 있으니 전문가에게 문의하세요.
Q: 진단이 실패하면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나요?
A: 드라이브에 물리적 손상이 있으면 전문 데이터 복구 서비스가 필요합니다. 복구 성공 여부는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Q: UEFI와 Legacy는 무엇을 선택해야 하나요?
A: 운영체제 설치 시 사용한 모드와 일치시켜야 합니다. 최근 윈도우 설치는 대체로 UEFI를 사용합니다.
1줄 용어집
- BIOS/UEFI: 시스템 펌웨어로 부팅 순서와 장치 초기화를 관리합니다.
- 부트 로더: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는 작은 프로그램입니다.
- Diagnostics: 하드웨어 오류를 감지하는 내장 테스트 도구입니다.
끝맺음
부팅 실패는 당황스러운 문제지만, 체계적으로 접근하면 대부분 해결할 수 있습니다. BIOS에서 드라이브 인식, 진단 결과, 부팅 순서 확인이 핵심입니다. 하드웨어 결함이 의심되면 데이터를 우선 보호하고 전문가에게 수리나 데이터 복구를 의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