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가이드

Windows 11에서 작업 표시줄 고정/고정 해제 옵션 차단하기

4 min read Windows 도움말 업데이트됨 18 Oct 2025
Windows 11 작업 표시줄 고정 차단 방법
Windows 11 작업 표시줄 고정 차단 방법

Windows 11에서 작업 표시줄 고정/고정 해제 옵션 예시

왜 이 작업을 해야 하나요? 집에서나 공용 환경에서 컴퓨터를 공유할 때 다른 사용자가 작업 표시줄에 임의로 앱을 추가·제거하지 못하게 잠그려는 목적입니다. 아래 방법들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하며, 변경 전 시스템 백업을 권합니다.

준비 사항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gpedit.msc)는 Windows Pro/Enterprise/Education에만 기본 제공됩니다. Windows Home 사용자는 gpedit을 설치하거나 레지스트리 방법을 사용하세요.
  • 레지스트리 편집은 위험을 동반합니다. 변경 전에 레지스트리를 백업하세요(파일 → 내보내기 또는 시스템 복원 지점 생성).
  •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방법 1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사용

이 방법은 조직 환경이나 Pro 이상 버전에서 권장됩니다. 정책 배포가 쉬워집니다.

  1. Win + R을 눌러 실행 대화상자를 엽니다.
  2. 검색란에 gpedit.msc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엽니다.
  3. 왼쪽 트리에서 다음으로 이동합니다:
User Configuration > Administrative Templates > Start Menu and Taskbar
  1. 오른쪽 창에서 “Do not allow pinning programs to the taskbar” 정책을 찾습니다.
  2. 해당 항목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편집(Edit)을 선택합니다.
  3. 정책 편집 창에서 Enabled(사용) 옵션을 선택합니다.
  4. 적용(Apply) → 확인(OK)을 클릭하고 시스템을 재시작합니다. 변경 후 작업 표시줄의 앱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메뉴 항목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중요: 이 정책은 사용자가 작업 표시줄에 프로그램을 고정하지 못하게 합니다. 기존에 이미 고정된 항목이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을 수 있으니, 필요 시 수동으로 정리하세요.

정책 편집기에서 Setting 옵션

정책 편집기에서 Enabled 옵션 선택 화면

방법 2 — 레지스트리 편집기 사용

레지스트리를 직접 편집하면 Windows Home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주의해서 진행하세요.

  1. Win + R을 눌러 실행 대화상자를 엽니다.
  2. regedit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엽니다(관리자 권한 필요).
  3. 다음 경로로 이동합니다:
HKEY_CURRENT_USER\SOFTWARE\Policies\Microsoft\Windows
  1. 왼쪽 창에서 Windows 키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 > 키(Key)를 선택합니다.
  2. 새 키 이름을 Explorer로 지정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폴더 이름 지정 화면

  1. 생성한 Explorer 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오른쪽 창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 > DWORD(32비트) 값을 선택합니다.
  2. 값 이름을 NoPinningToTaskbar로 지정합니다.
  3. NoPinningToTaskbar 값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수정(MODIFY)을 선택합니다.
  4. 값 데이터(Value data)에 1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NoPinningToTaskbar 값 편집 화면

  1.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닫고 컴퓨터를 재시작합니다. 이제 작업 표시줄에 고정/고정 해제 옵션이 비활성화됩니다.

되돌리려면 NoPinningToTaskbar 값 데이터를 0으로 바꾸거나 해당 값을 삭제하면 됩니다.

설정 확인 및 수용 기준

  • 재시작 후 작업 표시줄의 앱 아이콘에서 우클릭했을 때 “Pin to taskbar” 또는 “Unpin from taskbar” 메뉴 항목이 보이지 않아야 합니다.
  • 이미 고정된 아이콘이 자동으로 사라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책 적용 후 수동 확인이 필요합니다.
  • 그룹 정책 적용 시 여러 사용자에 대해 중앙에서 관리되는 환경은 GP 업데이트(gpupdate /force)로 즉시 반영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관리자 권한 콘솔에서 실행).

문제 발생 시 롤백(해결 순서)

  1. 변경 전 내보낸 레지스트리 파일(.reg)이 있다면 그것을 더블클릭해 병합하여 원래 상태로 되돌립니다.
  2. 레지스트리 백업이 없다면 생성한 NoPinningToTaskbar 값을 0으로 변경하거나 삭제합니다.
  3. 그룹 정책으로 설정했다면 로컬 그룹 정책 상태를 Disabled로 바꾸고 gpupdate /force를 실행합니다.
  4. 변경 후에도 문제가 남으면 시스템 복원 지점을 사용해 복원하거나 IT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언제 이 방법이 실패하거나 제한되는가

  • Windows Home 기본판은 gpedit.msc가 없으므로 그룹 정책 방법을 바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레지스트리 방법은 가능).
  • 타사 런처나 관리 도구가 작업 표시줄 동작을 덮어쓰면 정책이 예상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기업 환경(AD/Intune)에서는 중앙 정책이 우선 적용되므로 로컬 설정이 덮어씌워질 수 있습니다.

대체 방법

  • Intune, SCCM(구 Configuration Manager) 같은 엔터프라이즈 도구로 정책을 배포하면 다수의 기기를 일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계정을 제한된 권한 표준 계정으로 운영하여 임의 설정 변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스크립트(예: PowerShell)로 레지스트리 값을 배포/되돌리는 자동화도 가능합니다(관리자 권한 필요).

결정 트리 (간단 가이드)

flowchart TD
  A[공유 PC인가?] -->|예| B{Windows 버전}
  B -->|Pro/Ent/Edu| C[그룹 정책 사용 권장]
  B -->|Home| D[레지스트리 편집 사용]
  C --> E[정책 설정 후 재시작]
  D --> F[NoPinningToTaskbar 생성 및 값=1, 재시작]
  E --> G[작업 표시줄 고정 불가 확인]
  F --> G

역할별 체크리스트

  • 관리자(IT 담당)

    • 정책 적용 전 그룹에 대한 영향도 검토
    • 레지스트리 및 시스템 복원 지점 생성
    • 정책 배포 후 샘플 사용자 계정으로 동작 확인
  • 개인 사용자(로컬 관리자)

    • 변경 전 레지스트리 내보내기
    • 변경 후 작업 표시줄에서 메뉴 항목 비활성화 확인

용어 한 줄 정의

  • 그룹 정책: Windows에서 중앙 또는 로컬로 설정을 배포하는 메커니즘입니다.
  • 레지스트리: Windows 설정을 저장하는 계층적 데이터베이스입니다.
  • NoPinningToTaskbar: 작업 표시줄 고정을 금지하는 레지스트리 키 이름입니다.

보안 및 개인정보 노트

레지스트리를 편집하는 작업은 로컬 시스템 설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 수행하세요. 기업 환경에서는 정책 변경 전 내부 규정 및 사용자 영향도를 검토하십시오.

요약

  • 작업 표시줄의 “Pin to taskbar” 및 “Unpin from taskbar” 옵션을 비활성화하려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또는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세요.
  • 변경 전 레지스트리 백업과 시스템 복원을 준비하고, 변경 후에는 항상 재시작하여 결과를 확인하세요.
  • 되돌리려면 정책을 비활성화하거나 NoPinningToTaskbar 값을 0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더 많은 Windows 작업 표시줄 맞춤 설정이 필요하면 관련 문서를 참조하거나 추가 질문을 남겨 주세요.

공유하기: X/Twitter Facebook LinkedIn Telegram
저자
편집

유사한 자료

초보자용 인덱스 거래 앱 선택 가이드
투자

초보자용 인덱스 거래 앱 선택 가이드

Mac 복구 디스크 백업 및 부팅용 복구디스크 만들기
macOS

Mac 복구 디스크 백업 및 부팅용 복구디스크 만들기

Nautilus에서 확장자별로 파일 정렬하는 법
우분투

Nautilus에서 확장자별로 파일 정렬하는 법

명령 프롬프트로 인터넷 문제 진단 및 성능 개선
네트워크

명령 프롬프트로 인터넷 문제 진단 및 성능 개선

Windows에서 OneDrive 자동 실행 끄기: 5가지 방법
Windows

Windows에서 OneDrive 자동 실행 끄기: 5가지 방법

원격 PC로 파일 전송: RDP·AnyDesk 실전 가이드
기술 가이드

원격 PC로 파일 전송: RDP·AnyDesk 실전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