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10에서 앱 및 서비스 비활성화로 성능 개선하는 방법

이미지 ALT: Windows 10 시작 프로그램과 백그라운드 앱을 비활성화해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 이미지
Windows 10은 원래 꽤 빠른 운영체제지만, 여러 앱과 데스크톱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설치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느려질 수 있습니다. 앱을 전부 삭제하는 것은 항상 좋은 해법이 아니므로, 더 안전하고 실용적인 방법은 불필요한 앱이나 서비스를 비활성화해서 부팅 시 메모리와 CPU를 덜 사용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 문서에서는 Windows 10에서 앱과 서비스를 닫고 비활성화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초보자도 따르기 쉬운 절차와 더불어 운영자가 참고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롤백 방법과 테스트 기준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루는 주제 (What we’ll cover)
- 시작 프로그램(Startups) 비활성화로 Windows 10 성능 최적화
- Windows 10의 불필요한 서비스(Service) 식별 및 관리
- 서드파티 서비스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과 해결 방법
- 게임 및 그래픽 성능 향상을 위한 앱/서비스 점검
- 부팅 시간 단축 팁과 안전한 적용 방법
- 다양한 방법(작업 관리자, 서비스 창, 시스템 구성)을 통한 비활성화 절차
중요: 이 가이드는 안전을 최우선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시스템 핵심 서비스는 건드리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변경 전 복원 지점 생성 또는 설정 기록을 반드시 해두세요.
기본 개념 한 줄 요약
- 시작 프로그램(startup): Windows 로그인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앱.
- 서비스(service): 시스템 수준에서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모듈(사용자 인터페이스 없이 작동).
권장 적용 순서 (안전한 접근법)
- 현재 상태 백업(복원 지점 또는 설정 스냅샷).
- 작업 관리자에서 시작 항목 우선 정리(가장 안전).
- 문제가 지속되면 서비스 창에서 개별 서비스 비활성화(신중히).
- 전체 서드파티 서비스 비활성화는 마지막 수단으로
msconfig
를 사용. - 변경 후 재부팅, 성능 및 기능 검증, 필요시 롤백.
중요: 안티바이러스(백신) 등 보안 관련 서비스는 항상 활성화 상태로 두십시오.
1. 작업 관리자(Task Manager)로 시작 앱 비활성화
가장 쉬우면서 안전한 방법입니다. 사용자 계정 권한만으로도 대부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잘못해도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낮습니다.
- 키보드에서 Ctrl + Shift + Esc를 동시에 눌러 작업 관리자를 엽니다.
대체 방법: Ctrl + Alt + Del을 누른 후 메뉴에서 작업 관리자를 선택합니다.
이미지 ALT: Windows 10 작업 관리자 창의 시작 탭을 가리키는 화면 캡처
- 상단 탭에서 “시작 프로그램(Startup)” 탭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부팅 시 실행되는 앱 목록과 각 항목의 시작 영향(Startup impact)이 표시됩니다.
이미지 ALT: 시작 탭에서 각 시작 프로그램의 상태와 영향도를 확인하는 모습
비활성화하고 싶은 앱을 찾아 우클릭합니다.
메뉴에서 “사용 안 함(Disable)”을 선택합니다.
이미지 ALT: 특정 시작 항목을 우클릭해 ‘사용 안 함’을 선택하는 화면
- 원하는 만큼 반복합니다. 변경 사항은 다음 재부팅부터 적용됩니다(일부 앱은 즉시 비활성화 상태가 반영됨).
팁: “시작 영향”이 높은 앱을 우선으로 비활성화하면 부팅 성능 개선 효과가 큽니다.
주의: 일부 앱(예: 클라우드 동기화, 백업, VPN, 원격 접근 솔루션)은 반드시 필요할 수 있으므로, 기능을 먼저 확인하세요.
2. 컴퓨터 관리(Services)에서 서비스 비활성화
서드파티 앱들이 독자적인 서비스로 동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서비스는 부팅 시 자동 시작되어 시스템 자원을 소비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창을 통해 더 세밀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 Windows 키 + X를 눌러 ‘컴퓨터 관리(Computer Management)’를 선택합니다. 또는 시작 버튼을 우클릭해 같은 메뉴에 접근합니다.
이미지 ALT: Windows 키 + X 메뉴에서 컴퓨터 관리를 선택하는 장면
- 왼쪽 메뉴에서 “서비스(Services)”를 선택합니다. 또는 빠르게 열려면 Windows 키 + R을 누르고 실행창에
services.msc
를 입력해 Enter를 누르세요.
이미지 ALT: services.msc로 연 서비스 관리 창의 서비스 목록을 보여주는 화면
이미지 ALT: 서비스 항목을 우클릭해 속성창을 여는 모습
서비스 관리 창에서 각 서비스의 설명(Description), 상태(Status), 시작 유형(Startup Typ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름으로 검색해 역할을 확인하고, 필요하면 우클릭 후 “중지(Stop)”하거나 속성에서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Disabled)”으로 변경하여 영구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주의: 시스템 필수 서비스 또는 보안 관련 서비스(Windows Update, Windows Defender 등)는 건드리지 마십시오. 잘못된 서비스 비활성화는 시스템 불안정이나 기능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ALT: 특정 서비스를 더블클릭해 속성창에서 시작 유형을 변경하는 화면
2.2 어떤 서비스를 비활성화해도 될까? (추천 목록과 설명)
아래 목록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대체로” 비활성화해도 무방한 항목들입니다. 다만 각 항목 옆의 설명을 읽고 본인의 사용 환경(프린터 사용, 네트워크 공유, 도메인 연결 등)에 맞춰 적용하세요.
로컬(Local) 관련 서비스(예시)
- Diagnostic Policy Service: 진단 정보 수집. 고급 문제 해결을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가능.
- Security Center: 보안 상태 알림 제공. 보안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관리한다면 알림 기능만 불필요.
- Print Spooler: 프린터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으면 비활성화(프린터가 없을 때).
- Application Experience: 호환성 데이터 전송 및 경험 서비스. 레거시 앱 호환이 필요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고려.
- Secondary Logon: 다른 계정으로 프로그램 실행 기능. 사용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가능.
- Program Compatibility Assistant Service: 호환성 문제 자동 감지 서비스. 필요 시에만.
- Portable Device Enumerator Service: 휴대 기기(카메라, 스마트폰) 인식 서비스. 사용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 Offline Files: 오프라인 파일 사용 안 하면 비활성화.
- Remote Registry: 원격에서 레지스트리 접근. 보안상 불필요하면 비활성화 권장.
- Windows Error Reporting Service: 오류 리포트 전송. 개인 환경에서는 비활성화해도 무방.
- Windows Image Acquisition: 스캐너/카메라 장치 미사용 시 비활성화 가능.
- Windows Search: 자주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활성화 유지 권장(색인 기능).
인터넷/네트워크 관련 서비스(예시)
- Distributed Link Tracking Client: NTFS 링크 추적 사용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 IP Helper: IPv6 터널링 등 고급 네트워크 기능 사용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고려.
- Computer Browser: 로컬 네트워크 브라우징이 필요 없으면 비활성화.
- Server: 파일/프린터 공유 서버로 사용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 TCP/IP NetBIOS Helper: 작업 그룹 네트워크에 속하지 않거나 NetBIOS 사용 안 하면 비활성화.
- Windows Time: 인터넷 동기화가 필요 없으면 비활성화(시간 동기화가 중요하면 유지).
참고: 이 목록은 일반적인 권장안일 뿐이며, 기업 환경의 도메인 정책/그룹 정책(Active Directory)이 적용된 시스템에서는 로컬 변경이 제한되거나 예기치 못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추가 자료: 운영체제의 기본 또는 권장 서비스 설정은 Microsoft 공식 문서를 참고하세요.
3. 시스템 구성(System Configuration, msconfig)을 이용한 서드파티 서비스 일괄 비활성화
모든 서드파티(비-Microsoft) 서비스를 한 번에 끄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 Windows 키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msconfig
를 입력한 뒤 Enter를 누릅니다.
이미지 ALT: msconfig 시스템 구성 창의 서비스 탭을 보여주는 화면
- “서비스(Services)” 탭으로 이동한 다음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Hide all Microsoft services)”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모두 사용 안 함(Disable all)”을 클릭하여 서드파티 서비스를 비활성화합니다. 적용(Apply) 및 확인(OK)을 클릭하세요.
이미지 ALT: 시스템 구성의 서비스 탭에서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 옵션을 사용하는 화면
- 변경 확인 메시지가 나오면 재시작(Restart)을 선택해 변경 사항을 적용합니다.
이 방법은 빠르고 강력하지만, 일부 타사 서비스(예: 드라이버 관련 또는 하드웨어 관리 서비스)를 끌 경우 하드웨어 동작이나 특정 소프트웨어 기능에 영향이 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롤백: 필요하면 msconfig
에서 다시 체크박스를 조절하거나, 변경 전 생성한 시스템 복원 지점으로 되돌리세요.
4. 백그라운드 앱 닫기(Background apps)
앱이 ‘절전(hibernation)’ 모드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고, 실제로 메모리와 시스템 리소스를 계속 사용하기도 합니다. 특히 UWP(스토어 앱)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할 수 있습니다.
[youtube]StRFu2_ONI8[/youtube]
Even if Microsoft promotes hibernation behavior for modern apps, it’s still useful to close apps you don’t use.
Windows 10에서 마지막으로 사용한 앱(Last Used Apps) 패널을 불러와 앱을 끄는 방법(터치/태블릿 모드에서 유용):
- 화면 왼쪽 가장자리로 포인터를 이동해 마지막 사용 앱 목록을 연다.
- 앱을 선택해 위로 드래그하면 윈도우처럼 작아지고, 아래로 드래그하면 종료됩니다.
데스크톱 앱은 보통 창을 닫으면 종료되지만, 트레이(시스템 트레이)에서 계속 실행되는 앱도 있으니 트레이 아이콘을 확인해 필요없는 항목은 종료하세요.
팁: 설정 > 개인정보 > 백그라운드 앱에서 앱별 백그라운드 실행 허용을 끌 수 있습니다(앱 권한 관리).
대안적 접근 방법(Alternative approaches)
- 고급 도구 사용: Autoruns(Windows Sysinternals) 같은 툴은 시작 항목과 레지스트리, 스케줄러 등 시스템 전반의 자동 실행 항목을 깊이 있게 보여줍니다. 숙련자용.
- 경량 대체 앱 사용: 무거운 프로그램 대신 가벼운 대체 앱(예: 무거운 클라우드 동기화 앱 대신 웹 기반 또는 필요 시 수동 업로드)을 사용.
-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SSD 교체, RAM 추가는 근본적 성능 개선 방법입니다(비용 발생).
- 전원 설정 최적화: 제어판 > 전원 옵션에서 고성능 또는 균형 옵션을 상황에 맞게 선택.
역할별 체크리스트 (Role-based checklists)
관리자(IT 관리자)
- 그룹 정책(AD) 영향 확인
- 서비스 변경 전 시스템 이미지/백업 생성
- 변경 로그(누가 언제 어떤 항목을 비활성화했는지) 기록
- 변경 후 SCOM/모니터링 도구에서 경고 확인
일반 사용자
- 작업 관리자에서 시작 프로그램 확인
-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 비활성화
- 트레이에서 불필요한 앱 종료
- 변경 후 주요 앱(이메일, 동기화, 프린터 등) 동작 확인
게이머
- 게임 실행 전 백그라운드 앱 최소화
- GPU 드라이버, 게임 관련 런처(Origin/Steam/Epic)만 허용
- 게임 중 오버레이(Discord 등) 비활성화로 성능 최적화
미니 방법론(Mini-methodology): 안전한 비활성화 5단계
- 진단: 작업 관리자에서 CPU/메모리/디스크 사용량 확인.
- 우선순위 결정: 시작 영향이 높은 항목 우선 비활성화.
- 적용: 작업 관리자 → 시작 탭에서 비활성화.
- 검증: 재부팅 후 부팅 시간과 주 사용 앱 동작 확인.
- 롤백: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원상복구(복원 지점이나 설정 재체크).
결정 트리 (Decision tree)
아래 Mermaid 다이어그램은 어떤 방법을 먼저 시도할지 결정하는 간단한 흐름입니다.
flowchart TD
A[PC가 느린가?] --> B{부팅만 느린가}
B -- 예 --> C[작업 관리자에서 시작 프로그램 확인]
B -- 아니오 --> D[작업 관리자에서 리소스 사용 항목 확인]
C --> E{시작 영향이 높은 앱이 있는가}
E -- 예 --> F[해당 앱 비활성화 후 재부팅]
E -- 아니오 --> G[msconfig에서 서드파티 서비스 일괄 비활성화'테스트']
D --> H{특정 프로세스가 과다 사용중인가}
H -- 예 --> I[프로세스별 앱 제거/업데이트/비활성화]
H -- 아니오 --> J[하드웨어'RAM/SSD' 업그레이드 고려]
테스트 케이스 및 수용 기준(Test cases / Acceptance criteria)
테스트 케이스(간단 예시):
케이스 1: 시작 항목 - 고영향 앱 3개 비활성화
- 기대 결과: 부팅 시간 15~60초 개선(환경에 따라 다름), 로그인 후 초기 응답성 향상
- 수용 기준: 주요 업무 앱 정상 동작, 네트워크 자원 문제 없음
케이스 2: msconfig로 모든 서드파티 서비스 비활성화(테스트 모드)
- 기대 결과: 부팅 후 안정성 확인 및 기능 검증
- 수용 기준: 필수 하드웨어(프린터, 스캐너)와 보안 소프트웨어 작동 확인
케이스 3: 게이밍 전용 프로파일 적용
- 기대 결과: 게임 실행 시 프레임 안정화 및 로딩 시간 단축
- 수용 기준: 게임 플레이 중 강제 종료나 충돌 없음
참고: 구체적인 수치(예: 부팅 시간 단축 초)는 사용 환경, 하드웨어 및 설치된 앱에 크게 좌우됩니다. 본 가이드에서는 정성적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롤백 / 인시던트(runbook)
- 문제가 발생하면 변경한 항목(시작 항목 또는 서비스)을 바로 기록합니다.
- 마지막 변경을 되돌립니다(작업 관리자에서 다시 사용하도록 설정하거나, services.msc에서 시작 유형을 원래대로 변경).
-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 여전히 문제가 있으면 안전 모드로 부팅하여 최근 변경을 되돌리고 복원 지점으로 복구합니다.
- 문제가 반복되면 변경 로그와 이벤트 뷰어(이벤트 로그)를 확인해 근본 원인을 파악합니다.
보안 및 개인정보 주의사항
- 원격 레지스트리(Remote Registry)나 원격 관리 관련 서비스를 비활성화하면 보안은 강화될 수 있지만, 원격 관리를 필요로 하는 환경(기업 내부 관리)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개인 정보(진단 데이터, 오류 보고 등)를 줄이려면 오류 보고를 비활성화할 수 있으나, 문제 발생 시 문제 원인 분석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안티바이러스, 방화벽, 원격 관리 솔루션은 비활성화하면 보안 위험성이 커지므로 항상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십시오.
자주 묻는 질문(FAQ)
Q1: 시작 항목을 모두 비활성화해도 안전한가요?
A1: 일반적으로는 안전하지만, 백업/동기화/보안 관련 앱을 비활성화하면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먼저 영향도를 확인하세요.
Q2: 서비스 창에서 어떤 항목을 건드리면 안 되나요?
A2: “Windows Update”, “Windows Defender”, 드라이버 관련 서비스 등 시스템 핵심 서비스는 건드리지 마세요.
Q3: msconfig로 변경하면 어떻게 되나요?
A3: 비-Microsoft 서비스를 숨긴 뒤 일괄 비활성화하면 서드파티 서비스가 모두 꺼집니다. 단, 일부 기능이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니 재부팅 후 검증이 필요합니다.
요약 (Summary)
- 시작 프로그램과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정리하면 Windows 10의 부팅 시간과 반응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먼저 작업 관리자로 시작 항목을 점검하고, 이후 서비스 창과
msconfig
로 필요한 항목만 선별적으로 비활성화하세요. - 변경 전 백업/복원 지점 생성, 변경 로그 기록, 비활성화 후 기능 검증을 반드시 수행하세요.
1줄 용어집(Glossary)
- 시작 영향(Startup impact): 시작 시 해당 앱이 시스템에 미치는 성능 영향의 등급.
- 서비스(Service): 백그라운드에서 시스템 기능을 제공하는 실행 단위(대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없음).
소셜 프리뷰(예시)
- OG 제목: Windows 10 성능 개선: 앱·서비스 안전 비활성화 가이드
- OG 설명: 시작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안전하게 관리해 부팅 시간을 단축하고 시스템 반응성을 높이는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이미지 ALT: 게임 성능을 위해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점검하는 모습
더 읽어보기/참고 자료:
- 기본 제공 앱 제거 스크립트 안내
- Windows 10에서 사전 설치된 앱 재설치 방법
- Windows 업데이트 및 Edge 제거 관련 참고 가이드
마지막으로, 변경 사항을 적용한 뒤 적어도 한 번은 전체 시스템 테스트(업무용 앱, 프린터, 네트워크 공유 등)를 수행하여 실제 운영 환경에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