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문서의 목적과 관련 검색어
목적: 페이스북에서 내가 남긴 온라인 흔적을 확인하고,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삭제하는 실무적인 절차를 제공합니다.
관련 검색어(변형): 페이스북 활동 기록 삭제, 페북 시청 기록 지우기, 페이스북 검색 기록 삭제, 페이스북 스토리 삭제, 활동 로그 지우기
페이스북이 기록하는 항목 한눈에 보기
페이스북은 사용자가 앱에서 하는 거의 모든 상호작용을 이벤트로 저장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누가, 언제, 어떤 콘텐츠와 상호작용했는지’ 메타데이터와 함께 기록합니다. 주로 저장되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라이브 방송(내가 올린 라이브) 기록
- 검색한 동영상, 시청한 동영상
- 검색 기록(사람·페이지·그룹 등)
- 댓글·리액션
- 그룹 게시물 및 댓글 활동
- 스토리 활동(게시·조회·응답)
- 내가 좋아요 누른 페이지 및 관심사
- 로그인 위치 및 기기 정보
- 관계 상태(프로필 정보 일부)
중요: 다른 사람이 내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스크린샷을 찍어 보관한 경우, 페이스북에서 해당 사본을 완전히 통제할 수는 없습니다. 아래 ‘언제 실패하는가‘ 섹션을 참고하세요.
PC에서 페이스북 활동 기록 삭제하기
다음 단계는 데스크톱 브라우저에서 페이스북 활동 로그를 확인하고 항목을 삭제하는 표준 절차입니다.
- 브라우저에서 페이스북을 열고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드롭다운에서 Settings & privacy(설정 및 개인정보)를 선택합니다.
- 이어서 Settings(설정) 를 클릭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Your activity and permissions(활동 및 권한) 을 찾은 뒤 Activity log(활동 로그) 를 선택합니다.
- 오른쪽 화면에서 각 카테고리를 선택해 세부 항목을 확인합니다. 예: 동영상 시청 기록, 검색 기록, 댓글, 스토리, 페이지 활동 등.
- 항목별 삭제: 항목 카드 왼쪽의 점 3개 메뉴를 클릭해 Delete(삭제) 또는 Remove(제거) 를 선택합니다.
- 카테고리 전체 삭제: 예를 들어 시청 기록 전체를 삭제하려면 화면 상단의 Clear Video Watch History(동영상 시청 기록 삭제) 버튼을 눌러 한 번에 지울 수 있습니다.
팁: 검색 기록 전체 삭제는 Settings → See more in Accounts Center → Your information & permissions → Search history에서 가능합니다.
저장된 스토리 및 아카이브 삭제
Activity log의 왼쪽에서 Your Facebook Activity(내 페이스북 활동) 를 선택하면 댓글 및 반응, 게시물, 그룹, 페이지, 투표 등 더 많은 세부 카테고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Stories)는 자동으로 아카이브에 보관될 수 있습니다. 아카이브에 있는 저장된 스토리를 제거하려면 Stories 카테고리로 이동해 삭제할 항목을 선택한 뒤 점 3개 메뉴에서 Delete를 누르거나 상단의 체크박스를 이용해 다수 선택 후 Remove를 누릅니다.
아카이브 자동 저장을 차단하려면 Settings & privacy → Settings → Audience and visibility → Stories로 이동해 Archiving your stories(스토리 자동 보관) 옵션을 끕니다.
모바일에서 페이스북 활동 기록 삭제하기
모바일 앱에서도 활동 로그를 통해 같은 작업이 가능합니다.
- 앱을 열고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탭합니다.
- Settings & privacy → Settings 로 이동합니다.
- Your activity and permissions → Activity log 를 선택합니다.
- 파란색 태그(활동 카테고리)를 좌우로 스와이프하면서 라이브, 페이지 좋아요, 스토리 활동, 검색 기록 등 항목을 확인하세요.
- 개별 항목 삭제는 항목의 점 3개 → Delete 를 탭합니다. 카테고리 전체 삭제는 상단의 파란 링크(예: Clear video watch history)를 누릅니다.
스토리 아카이브는 Activity log → Your Facebook activity → Stories → Archived stories에서 접근해 삭제할 수 있습니다.
언제 삭제가 완전히 실패하는가(제한사항 및 예외)
- 다른 사람이 저장하거나 스크린샷한 콘텐츠는 페이스북에서 지워도 제어할 수 없습니다.
- 서버 로그나 백업, CDN 캐시에는 일부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삭제해도 일정 기간 보존 정책에 따라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 제3자 앱이나 서비스(연동된 외부 서비스)가 데이터를 수집한 경우, 해당 서비스의 정책에 따라 별도 삭제 요청이 필요합니다.
- 광고 회사나 데이터 브로커가 이미 수집한 프로파일은 페이스북의 활동 기록 삭제만으로 완전 제거되지 않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 강화권장 사항(보안 하드닝)
- 스토리 자동 아카이브 끄기: 위 절차에서 설명한 대로 비활성화하세요.
- 앱 권한과 타사 연동 점검: Settings → Apps and Websites에서 권한을 철회하세요.
- 광고 환경설정 제한: Ad Preferences에서 관심 기반 광고를 조정하세요.
- 로그인 기기 관리: Settings → Security and login에서 다른 기기에서의 로그아웃과 알림을 설정하세요.
- 2단계 인증 활성화(2FA): 계정 탈취 위험을 줄입니다.
- 계정 접근 권한 최소화: 비즈니스 계정 또는 페이지 관리자 권한을 불필요하게 배포하지 마세요.
- 주기적 활동 로그 점검: 분기 또는 월별로 활동 로그를 확인해 불필요한 항목을 정리하세요.
실무 플레이북: 단계별 SOP
목표: 계정에서 민감한 활동을 정리하고, 향후 추적을 줄이기 위한 표준 운영 절차입니다.
- 사전 준비
- 로그인 정보(이메일, 비밀번호) 확인 및 백업
- 2단계 인증 활성화
- 전체 감사(Audit)
- Activity log 전체 카테고리 스캔
- 민감 항목 우선순위 분류(예: 공개 스토리, 공개 댓글, 검색 기록)
- 삭제 실행
- 민감 항목부터 개별 삭제
- 가능 항목은 카테고리 전체 삭제(예: 시청 기록)
- 설정 변경
- 스토리 자동 아카이브 끄기
- 앱 권한 철회, 광고 설정 축소
- 검증
- 다른 브라우저와 세션에서 로그아웃 후 재로그인해 삭제 결과 확인
- 문서화
- 삭제한 항목 목록(중요 항목 캡처는 법적 증거가 될 수 있으므로 별도 보관)
- 정기 점검
- 3개월 또는 6개월 주기로 동일 절차 반복
Критерии приёмки(수용 기준): 모든 우선순위 민감 항목이 Activity log에 더 이상 표시되지 않아야 하며, 스토리 자동 아카이브가 꺼져 있어야 합니다.
역할 기반 체크리스트
일반 사용자
- 활동 로그에서 최근 6개월 기록 스캔
- 검색·시청 기록 우선 삭제
- 스토리 아카이브 비활성화
프라이버시 우선 사용자
- 광고 환경설정 최소화
- 타사 앱 권한 전부 철회
- 모든 로그인 기기 로그아웃 및 비밀번호 재설정
페이지/그룹 관리자
- 페이지 관리자의 공개 게시물과 댓글을 검토
- 페이지나 그룹 활동 기록 중 민감한 게시물이 없는지 확인
의사결정 흐름(간단한 의사결정 트리)
flowchart TD
A[활동 기록 확인] --> B{민감 항목인가?}
B -- 예 --> C[항목 개별 삭제]
B -- 아니오 --> D{동일 카테고리 다수인가?}
D -- 예 --> E[카테고리 전체 삭제 버튼 사용]
D -- 아니오 --> F[유지]
C --> G[설정 변경: 아카이브 끄기]
E --> G
F --> G
G --> H{타사 연동 있나?}
H -- 예 --> I[타사 서비스에 삭제 요청]
H -- 아니오 --> J[정기 점검 스케줄]
GDPR·개인정보 관련 주의사항(일반적 안내)
- 유럽 연합 거주자는 데이터 접근요청(Access)과 삭제요청(Erase)을 페이스북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절차와 처리 시간은 페이스북 정책에 따릅니다.
- 국가별 법적 요구사항은 상이하므로, 법적 강제 삭제(예: 명예훼손 등)를 원할 경우 관할 기관이나 법률 대리인과 상담하세요.
주의: 본 문서는 법률 자문이 아니며, 법적 권리나 구체적 처리 절차를 보증하지 않습니다.
테스트 케이스(간단한 검증 목록)
- TC1: 특정 동영상 삭제 후 Activity log에서 항목이 사라지는지 확인
- TC2: 카테고리 전체 삭제(동영상 시청 기록) 후 재로그인해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지 확인
- TC3: 스토리 아카이브 비활성화 후 새로 올린 스토리가 아카이브에 저장되지 않는지 확인
- TC4: 타사 앱 권한 철회 후 해당 앱에서 더 이상 내 데이터 접근이 차단되는지 확인
대안적 접근과 보완 방법
- 계정 완전 삭제: 장기적으로 페이스북 사용을 중단하고 싶다면 계정 비활성화가 아닌 완전 삭제(Delete Account)를 고려하세요. 삭제 전 데이터 내보내기(Export)를 해 두면 나중에 기록 복구가 가능합니다.
- 별도 브라우저 프로파일: 개인 활동과 공개 활동을 분리해 별도의 브라우저나 프로필을 사용하세요.
- 최소 정보 공개 원칙: 프로필에 공개하는 개인 정보를 최소화하고, 공개 범위를 친구로 제한하세요.
요약 및 다음 단계
- 활동 로그는 사용자 행동의 많은 부분을 기록하지만, 한 번에 모든 것을 완전히 차단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 정기적인 점검과 설정 변경(스토리 아카이브 끄기, 앱 권한 철회, 광고 환경설정 제한)으로 노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중요한 점: 다른 사용자가 저장한 콘텐츠나 외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는 페이스북의 삭제만으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권장 다음 단계:
- 지금 당장 Activity log를 열어 민감 항목을 삭제하세요.
- 스토리 자동 보관을 끄고 광고·앱 권한을 점검하세요.
- 3개월 주기로 위 SOP를 반복해 기록 관리를 일상화하세요.
참고: 빠른 체크리스트(핵심 행동 항목)
- Activity log 전체 스캔
- 시청 기록·검색 기록 우선 삭제
- 스토리 아카이브 비활성화
- 타사 앱 권한 철회
- 2단계 인증 설정
- 로그인 세션 확인 및 불필요한 세션 로그아웃
마무리 메모
이 가이드는 기술적·실무적 절차와 권장 설정을 정리한 실무 지침입니다. 페이스북 플랫폼의 UI는 지역·버전·실험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메뉴명이 약간 다르게 보이면 검색(사이트 내 검색 또는 도움말)으로 동일 기능을 찾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