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가이드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Traceability Matrix) 작성 가이드

10 min read 품질보증 업데이트됨 18 Oct 2025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작성 가이드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작성 가이드

중요: 이 문서는 RTM을 처음 도입하는 팀과 기존 RTM을 개선하려는 팀 모두를 대상으로 합니다. 읽기 전에 프로젝트의 요구사항 문서(BRD/FRD/유저스토리 등)를 준비하세요.

프로젝트 요구사항과 테스트 케이스를 연결한 트레이서빌리티 매트릭스 다이어그램

한눈에 보는 핵심 의도 및 관련 변형

  • 기본 의도: 요구사항과 테스트케이스 간 추적성 확보(Requirement → Test Case → Defect)
  • 관련 변형: 전방 추적성(Forward), 후방 추적성(Backward), 양방향 추적성(Bi-directional)
  • 확장 변형: 기능적/비기능적 요구사항 추적, 규제 준수(컴플라이언스) 중심 추적, 릴리스/버전 기반 추적

목차

  • RTM(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란?
  • 핵심 구성 요소
  • 준비 단계: 어떤 문서를 모아야 하는가
  • RTM 작성 단계(구조 정의 → 매핑 → 실행상태 포함 → 결함 추적)
  • 도구와 템플릿 비교
  • 실무 팁: 유지보수, 협업, 통합
  • 고급 주제: 영향도 분석, 변경 관리, 보안/프라이버시 고려사항
  • 부록: 샘플 템플릿, 역할별 체크리스트, SOP, Mermaid 의사결정 흐름도, 리스크 매트릭스

RTM(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란?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Requirement Traceability Matrix, RTM)는 프로젝트 산출물 간의 연관성을 표 형식으로 문서화한 것입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요구사항이 테스트케이스로 커버되었는지 검증
  • 테스트 결과와 결함을 요구사항에 연결해 품질 보증(Verification & Validation)을 지원
  • 변경 발생 시 영향 범위를 빠르게 파악하여 리스크를 줄임
  • 감사 및 규제 준수를 위한 증적(예: 규제기관, 고객 감사) 제공

한 줄 정의: RTM은 요구사항(Requirement)과 이를 검증하는 테스트(Test Case), 발견된 결함(Defect)을 서로 연결해 ‘무엇이 왜 테스트되었는가’를 증명하는 명세서입니다.

언제 RTM이 반드시 필요한가

  • 규제 준수가 필수인 시스템(의료, 금융, 항공 등)
  • 다수의 이해관계자와 복잡한 기능이 있는 대형 프로젝트
  • 릴리스마다 요구사항이 자주 변경되는 환경
  • 외부 감사 또는 증적을 요구하는 계약이 있을 때

핵심 구성 요소 및 파라미터

일반적으로 RTM에 포함되는 필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조직이나 도구에 따라 추가/삭제 가능합니다.

  • Requirement ID: 고유 식별자
  • Requirement Description: 요구사항 요약 및 상세
  • Requirement Type: 기능적/비기능적/규제 등
  • Business Owner / Requester: 요구사항 소유자
  • Test Case ID: 테스트케이스 고유 식별자
  • Test Case Description: 테스트 목적 및 요약
  • Test Steps: 핵심 실행 단계(간략)
  • Test Execution Status: 미실행/실행됨/통과/실패 등
  • Defect ID: 연계된 결함 식별자
  • Defect Status: 오픈/해결/검증/닫힘
  • Priority / Severity: 우선순위/심각도
  • Coverage Status: 커버됨/부분 커버/미커버
  • Comments / Remarks: 추가 메모

참고: RTM은 가독성을 위해 각 열을 명확히 정의하고, 식별자의 네이밍 규칙(예: REQ-001, TC-001)을 일관되게 사용해야 합니다.

추적성 유형: 전방, 후방, 양방향

  • 전방 추적성(Forward Traceability): 요구사항 → 테스트케이스로의 연결. 요구사항이 모두 테스트로 이어지는지 확인.
  • 후방 추적성(Backward Traceability): 테스트케이스 → 요구사항으로의 역추적. 테스트가 불필요한 기능을 검증하지 않는지 확인.
  • 양방향 추적성(Bi-directional): 두 방향 모두 확보. 변경 영향 분석과 완전한 테스트 커버리지를 검증하는 데 가장 안전함.

각 유형의 장단점

  • 전방: 요구사항이 테스트로 반영되는지 쉽게 확인 가능. 단, 테스트에서 누락된 요구사항 탐지에 제약.
  • 후방: 테스트가 요구사항에 대한 검증으로 연결되는지 검증. 단, 요구사항 누락 자체는 잡아내기 어려움.
  • 양방향: 변동성 높은 프로젝트에서 추천. 유지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음.

RTM 작성 전 준비 단계

성공적인 RTM 작성을 위해서는 초기 준비가 매우 중요합니다.

요구사항 문서 수집

수집 대상 예시:

  • BRD(비즈니스 요구사항 문서)
  • FRD/Spec(기능 요구사항 문서)
  • 유저스토리/에픽
  • Use Case 문서
  • 비기능 요구사항(성능, 보안, 접근성 등)
  • 계약서/규제 요구사항

검증 포인트:

  • 최신 버전인지 확인
  • 중복/중복된 요구사항 존재 여부 확인
  • 우선순위(Priority)가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

이해관계자 기대사항 확인

핵심 이해관계자(PO, 비즈니스 대표, 테스터, 개발자)와 다음 항목을 합의하세요.

  • 어떤 수준의 추적성을 보장할 것인지(양방향/전방 등)
  • RTM의 업데이트 책임자와 주기
  • 필수 필드와 선택 필드

테스트 시나리오 및 테스트케이스 식별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테스트 시나리오를 브레인스토밍합니다. 시나리오를 테스트케이스로 전환할 때는 다음을 고려하세요.

  • 정상 흐름, 예외 흐름, 경계값
  • 비기능 검증(성능, 보안, 부하)
  • 자동화 가능 여부와 우선순위

RTM 작성 단계별 절차

아래 절차는 실무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단계입니다.

  1. 구조 및 포맷 확정
  • 스프레드시트, 테스트관리 도구(TestRail, Zephyr 등), ALM 도구 중 선택
  • 권장 열: Requirement ID, Req Description, Req Type, Test Case ID, TC Description, Execution Status, Defect ID, Remarks
  • 네이밍 규칙과 버전 관리 정책 수립
  1. 요구사항 식별자 정의
  • 각 요구사항에 고유 ID 부여(예: REQ-YYYY-XXX 또는 PROD-MOD-001)
  • 설명은 1~2문장으로 요약하되, 필요 시 상세 링크 첨부
  1. 요구사항 ↔ 테스트케이스 매핑
  • 각 요구사항에 대해 해당 테스트케이스를 연결
  • 하나의 요구사항에 복수의 테스트케이스가 필요한 경우 모두 링크
  • 테스트케이스가 요구사항을 검증하지 못하는 경우 경고 표시
  1. 테스트 실행 상태 통합
  • 상태 필드 업데이트(예: Not Run, In Progress, Passed, Failed, Blocked)
  • 실패 시 결함을 생성하고 Defect ID로 연결
  1. 결함 추적 및 해결 연계
  • Defect → Test Case → Requirement로 역추적해 영향 범위 평가
  • 결함 우선순위와 담당자 배정
  1. 검토 및 승인
  • 변경이력(버전) 기록
  • 주요 이해관계자의 합의 서명(또는 디지털 승인)

샘플 RTM 템플릿 (간단 버전)

Requirement IDRequirement DescriptionReq TypeTest Case IDTest Case DescriptionTest Execution StatusDefect IDDefect StatusRemarks
REQ-001사용자 로그인 기능: 이메일/비밀번호로 인증기능TC-001정상 로그인 시 홈 화면 이동 확인Passed--우선순위 높음
REQ-002비밀번호 재설정 이메일 발송기능TC-002비밀번호 재설정 메일 발송 여부 확인FailedDEF-015OpenSMTP 설정 문제

참고: 대규모 프로젝트는 여기서 더 많은 메타데이터(작성일, 수정자, 테스트환경 등)를 포함합니다.

도구 및 접근 방식 비교

다음은 대표적인 접근 방식별 장단점 요약입니다.

  1. 스프레드시트 기반
  • 장점: 빠르게 시작 가능, 접근성 높음, 커스터마이즈 쉬움
  • 단점: 협업/버전관리 어려움, 대규모 데이터에서 오류 발생 가능
  1. 전용 테스트·추적 도구(ALM, DOORS 등)
  • 장점: 통합관리, 변경 이력, 권한관리, 통합 리포팅
  • 단점: 도입 비용/학습 곡선, 설정 비용 발생
  1. 이슈 트래커(Jira 등)와 연계
  • 장점: 요구사항/테스트/결함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연계 가능
  • 단점: 초기 템플릿/워크플로우 설계 필요, 사용자 교육 필요

도구 선택 팁:

  • 규제 프로젝트나 대규모 프로젝트는 전용 도구 추천
  • 소규모 · 빠른 PoC는 스프레드시트로 시작해 점진 전환

실무 팁: 유지보수, 협업, 통합

정기 업데이트와 소유권

  • RTM은 ‘한 번 만들면 끝‘이 아니다. 정기적인 업데이트(예: 스프린트 종료 후, 회귀 테스트 전)가 필요합니다.
  • 책임자(Role): RTM 관리자(또는 QA 리드)를 지정하고 업데이트 주기와 권한을 명확히 하세요.

협업 워크플로우

  • 변경 요청(CR) 발생 시 RTM에서 어떤 항목이 영향받는지 즉시 표시
  • 스프린트/릴리스 회의에서 RTM 요약을 정기적으로 보고
  • 이해관계자(비즈니스, 개발, 보안, QA)가 모두 접근 가능한 위치에 저장

다른 시스템과의 통합

  • 요구사항 관리 도구와 연계하여 자동 동기화
  • 테스트 자동화 도구(예: CI/CD 파이프라인)와 연동해 테스트 실행 결과 자동 업데이트
  • 결함관리 시스템(예: Jira)과의 링크를 통해 결함 상태 자동 반영

고급: 영향도 분석(Impact Analysis) 및 변경 관리

변경이 발생하면 RTM을 이용해 빠르게 영향을 추적하고 우선순위를 매기세요.

  • 변경 발생 → RTM에서 연결된 테스트케이스와 결함 확인 → 우선순위 산정 → 스케줄링
  • 변경 영향이 복합적인 경우(여러 모듈, 외부 시스템 연동)에는 양방향 추적성이 필수입니다.

결정 기준 예시(정성적):

  • 변경 영향 범위: 단일 컴포넌트 / 다중 컴포넌트 / 시스템 전체
  • 위험도: 낮음 / 보통 / 높음
  • 테스트 노력(예상): 소 / 중 / 대

보안 하드닝 및 프라이버시 고려사항

RTM 자체는 프로젝트의 정보(요구사항, 테스트케이스, 결함)를 포함하므로 보안·프라이버시 관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접근 제어: 권한 기반 접근(읽기/쓰기/관리자) 설정
  • 민감정보: 사용자 데이터 샘플, 개인정보(PII)는 RTM에 직접 포함하지 않음. 필요 시 마스킹 또는 참조 링크 사용
  • 감사 로그: 누가 언제 어떤 변경을 했는지 추적 가능하도록 로깅
  • 규제 준수: GDPR·PIPA 등 개인정보 규제를 따르는 경우 RTM에서 개인정보 흐름을 추적하는 별도 컬럼 필요

주의: 민감 데이터가 포함된 테스트케이스는 별도의 보호된 환경에서만 실행하세요.

리스크 매트릭스 및 완화 방안

아래는 RTM 관련 리스크 예시와 완화책입니다.

리스크영향완화 방안

| 요구사항 누락 | 기능 미구현, 출시 지연 | 요구사항 리뷰 회의, 서명 기반 승인 프로세스 | RTM 미갱신 | 잘못된 테스트 수행, 누락된 결함 | 업데이트 주기 및 책임자 지정 | 버전관리 혼선 | 잘못된 커버리지 판단 | 버전 태깅, 변경 이력 명확화 | 보안·프라이버시 노출 | 법적 리스크 | 접근 제어, 데이터 마스킹

역할별 체크리스트

아래 체크리스트는 각 역할이 RTM과 관련해 수행해야 할 핵심 업무입니다.

  • PO/비즈니스 담당자:

    • 요구사항 우선순위 정의 및 검증
    • 최종 요구사항 승인
  • QA 리드:

    • RTM 구조 정의 및 템플릿 관리
    • 테스트케이스와 요구사항 매핑 검토
    • RTM 업데이트 책임자 지정
  • 테스터:

    • 테스트 실행 결과를 RTM에 기록
    • 결함 발생 시 결함 ID를 링크하고 상세 리포트 제공
  • 개발자:

    • 요구사항의 구현 범위를 RTM과 대조
    • 변경 시 영향 범위를 RTM에 보고
  • 보안/컴플라이언스 담당자:

    • 규제 요구사항이 RTM에 반영되었는지 검토
    • 개인정보 흐름 및 민감 항목 추적

SOP(표준 운영 절차) — RTM 작성 및 업데이트(간략)

  1. 요구사항 수집 및 버전화
  2. 각 요구사항에 고유 ID 부여
  3. 테스트케이스 식별 및 작성
  4. 요구사항 ↔ 테스트케이스 매핑 완료
  5. 초기 RTM 리뷰(이해관계자 승인)
  6. 테스트 실행 시 RTM 상태 갱신
  7. 결함 발생 시 Defect ID로 연결하고 상태 갱신
  8. 릴리스 완료 후 RTM 최종 버전 아카이브

정기 검토 주기 권장: 스프린트 종료, 주요 마일스톤 전/후, 릴리스 전

수용 기준(Критерии приёмки)

  • 모든 필수 요구사항에 대해 하나 이상의 테스트케이스가 매핑되어야 한다.
  •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결함은 관련 요구사항과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 RTM의 최신 버전이 릴리스 아티팩트로 보관되어야 한다.
  • 이해관계자(PO, QA Lead)의 서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테스트 케이스 예제 및 수용 조건

예제 테스트케이스(TC-LOGIN-01)

  • 목적: 이메일/비밀번호로 정상 로그인 확인
  • 전제조건: 등록된 사용자 계정이 존재
  • 테스트 단계:
    1. 로그인 페이지 접속
    2. 이메일과 비밀번호 입력
    3. 로그인 버튼 클릭
    4. 홈 화면 로드 확인
  • 예상 결과: 홈 화면 표시, 로그인 토큰 발급
  • 수용 기준: 모든 단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토큰/세션이 정상 발급되어야 함

이 테스트케이스는 REQ-001(로그인 기능)에 매핑되어야 하며, 실패 시 결함이 생성되어야 합니다.

대안적 접근법과 언제 실패하는가(참고)

  • 단일 스프레드시트 접근은 작은 프로젝트에 적합하지만, 이해관계자 수가 많고 변경이 잦은 프로젝트에서는 버전 충돌과 데이터 무결성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전용 ALM 도구는 복잡한 추적성 요구에 적합하나 초기 비용과 운영 부담이 크므로 소규모 프로젝트에는 과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 자동화 중심 접근(테스트 자동화 결과와 RTM 동기화)은 테스트 커버리지 확인을 빠르게 하지만, 자동화 스크립트 품질이 낮거나 테스트 환경이 불안정하면 잘못된 가시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결론: 조직의 규모, 규제 수준, 변경 빈도에 따라 적절한 접근을 선택해야 합니다.

성숙도 모델: RTM 도입 단계

  • 레벨 0(무추적): 추적성 없음, 산출물 분산
  • 레벨 1(기초): 스프레드시트로 수동 추적, 책임자 지정 미흡
  • 레벨 2(정형화): 표준 템플릿·네이밍 규칙, 정기 업데이트 주기 존재
  • 레벨 3(통합): 테스트관리·결함관리 도구와 통합, 자동화 일부 적용
  • 레벨 4(최적화): CI/CD와 연동된 자동화, 실시간 대시보드, 규제 감사 준비 완료

조직은 현재 레벨을 평가한 뒤, 단계적으로 상향시키는 로드맵을 수립하세요.

의사결정 흐름도(간단 Mermaid)

아래 흐름도는 변경 요청이 들어왔을 때 RTM 기반으로 영향도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입니다.

flowchart TD
  A[변경요청 수신] --> B{요구사항 변경인가?}
  B -- 예 --> C[RTM에서 관련 항목 검색]
  C --> D{영향 범위 판단}
  D -- 단일 컴포넌트 --> E[우선순위 산정 후 계획 수립]
  D -- 다중 컴포넌트 --> F[심층 영향분석 및 회의]
  D -- 시스템 전체 --> G[릴리스 보류/긴급대응]
  B -- 아니오 --> H[문서 보완/재확인]
  E --> I[테스트케이스 업데이트 및 실행]
  F --> I
  G --> I
  I --> J[결과 RTM에 반영]
  J --> K[결재/종결]

유지보수 체크리스트(정기 작업)

  • 매 스프린트 종료 시 RTM 상태 검토
  • 주요 변경 발생 시 즉시 RTM 업데이트
  • 릴리스 전 RTM 최종 검증 회의(PO·QA·개발 참가)
  • 분기별 백업 및 아카이브

지역화(현지, 한국) 특이사항 및 권장 사항

  • 한국 고객·규제 환경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PIPA) 준수 여부를 RTM에서 추적해야 합니다. 개인정보 처리 관련 요구사항은 별도 컬럼(예: PII 포함 여부)로 표기하세요.
  • 전자문서 인증이나 증빙을 요구하는 계약의 경우 RTM의 승인 이력(전자서명 또는 승인 메일 링크)을 보관하세요.

에지 케이스 갤러리(실무에서 마주친 상황)

  • 요구사항이 추상적이라 매핑이 어려운 경우: 요구사항 세분화와 스토리 리파인먼트 필요
  • 테스트 자동화 실패가 다수 발생하는 경우: 자동화 안정화 작업을 우선 수행하고, RTM에는 수동 테스트 결과도 병기
  • 외부 시스템 규격 변경(3rd party API): 영향받는 모든 요구사항과 테스트케이스에 ‘외부의존’ 플래그 추가

요약 및 권장 실행 항목

  • RTM은 단순 문서가 아니라 프로젝트의 살아있는 증적입니다. 정기적으로 갱신하고 이해관계자와 공유하세요.
  • 초기에는 간단한 템플릿으로 시작해 점진적으로 통합·자동화를 도입하는 전략을 권장합니다.
  • 규제·프라이버시 요구가 있으면 관련 컬럼을 RTM에 반드시 포함시키고 접근 제어를 강화하세요.

핵심 권장 행동:

  1. 프로젝트 시작 시 RTM 템플릿·네이밍·주기 합의
  2. 스프린트마다 RTM 상태 업데이트 책임자 지정
  3. 릴리스 전 최종 RTM 검증과 아카이브 수행

요약: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는 요구사항의 완전성 검증, 테스트 커버리지 추적, 결함 연계 및 변경 영향 분석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조직 규모와 규제 수준에 맞춰 적절한 도구와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책임과 주기를 명확히 하여 RTM을 살아있는 자산으로 관리하세요.

공유하기: X/Twitter Facebook LinkedIn Telegram
저자
편집

유사한 자료

Linux에서 atop으로 부하 모니터링하기
모니터링

Linux에서 atop으로 부하 모니터링하기

EVE Online 패킷 손실 진단 및 해결 가이드
Networking

EVE Online 패킷 손실 진단 및 해결 가이드

전원 버튼 없이 Android 폰 끄는 6가지 방법
모바일

전원 버튼 없이 Android 폰 끄는 6가지 방법

Windows 10에서 .NET Runtime Optimization CPU 문제 해결
Windows 문제해결

Windows 10에서 .NET Runtime Optimization CPU 문제 해결

아이폰 날씨 앱, 모바일 데이터로 업데이트되지 않을 때 해결법
기기 팁

아이폰 날씨 앱, 모바일 데이터로 업데이트되지 않을 때 해결법

Windows 11 작업 표시줄 고정 차단 방법
Windows 도움말

Windows 11 작업 표시줄 고정 차단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