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가이드

셀피만으로 스마트폰 PIN을 추출하는 ‘각막 키로거’ — 무엇을 알고, 어떻게 대비할까

5 min read 보안 업데이트됨 28 Sep 2025
셀피로 PIN 추출하는 각막 키로거와 대응법
셀피로 PIN 추출하는 각막 키로거와 대응법

스마트폰 화면 반사가 보이는 인물의 눈 흰자 확대 이미지

개요

독일 연구자 Jan Krissler(별명 Starbug)는 셀피에 비친 스마트폰 화면의 반사를 이용해 사용자의 PIN을 추출하는 기법을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Biometrics 2015 콘퍼런스에서 공개되었고, 연구팀은 고해상도 이미지와 복원 기술을 조합해 반사 이미지를 확대·복원하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연구자는 또한 홍채 이미지를 복제해 콘택트 렌즈에 인쇄하는 시연까지 보였습니다.

연구자가 한 일과 시연 사례

  • 연구자는 셀피의 눈 흰자(cornea)에 반사된 화면을 캡처했습니다. 반사 영상은 매우 작지만, 고해상도 촬영과 이미지 처리로 충분히 확장·해석할 수 있습니다.
  • 연구진은 독일 총리 사진과 같은 공개 사진으로부터 홍채 데이터를 추출해 복제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 이전 작업에서는 지문을 스캐너나 카메라로 채취해 모형을 만들어 터치ID 같은 센서를 속이는 방법을 공개했습니다.
  • Starbug는 생체인식 시장의 큰 부분(자신의 발표 기준으로 90%)이 지문·얼굴·홍채로 구성된다고 말하며 “모든 것은 위조 가능하다(Everything is spoofable)”고 경고했습니다.

눈 각막 반사로 스마트폰 PIN을 추출하는 '코네알 키로거' 장치 사진

각막 키로거의 기술적 개념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고해상도 사진 촬영: DSLR 등 고급 카메라로 대상의 얼굴 사진을 고해상도로 촬영합니다. 원거리에서도 가능한 경우가 있다고 보고됩니다.
  2. 반사 영역 탐지: 눈의 각막 표면에서 발생하는 하이라이트(reflection)를 찾아냅니다. 이 영역은 원래 화면의 미니어처 반영입니다.
  3. 이미지 복원·정렬: 반사된 미니어처 이미지를 기하학적으로 보정하고, 초해상도(upscaling)·노이즈 제거·모자이크 합성 기법으로 복원합니다.
  4. 화면 콘텐츠 해석: 복원한 화면 이미지에서 숫자 패드나 PIN 입력 흔적을 알아내고, 타이밍·터치 위치 등 보조 정보를 통해 PIN 후보를 좁힙니다.

용어 정의: 초해상도는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알고리즘으로 확장해 세부를 보강하는 이미지 처리 기법입니다.

왜 이것이 문제인가

  • 공개적으로 찍힌 사진이나 SNS에 올라간 셀피로도 공격자가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지문·얼굴·홍채 등 생체 인식은 한 번 뚫리면 원복이 어렵습니다. 패스워드와 달리 바꾸기 어렵습니다.
  • 제조사가 제공하는 일부 라이브니스 탐지(liveness detection)만으로는 모든 공격을 막기 어렵다고 연구자는 주장합니다.

중요: 연구에서 사용한 성공률·시간·거리 등의 구체적 수치는 사진의 해상도, 촬영 각도, 조명 조건 등에 크게 좌우됩니다. 이 글은 기법과 대응책을 설명하는 목적이며, 특정 성공 확률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언제 이 방법이 실패하거나 한계가 있는가

  • 낮은 해상도 사진: 스마트폰 셀피나 작은 프로필 이미지는 반사 세부를 잃을 수 있습니다.
  • 각막이 어두운 조명이나 반사가 적은 각도: 반사가 뚜렷하지 않으면 복원이 불가능합니다.
  • 마스크 혹은 눈 주위 가림: 선글라스, 큰 안경, 헤어스타일 등이 반사를 가릴 수 있습니다.
  • 화면 콘텐츠가 암호화되거나 입력 UI가 숫자 패드가 아닌 경우: PIN 입력이 눈에 보이지 않으면 실패합니다.

사용자를 위한 실전 권장 조치

  • 셀피와 공개 사진 관리: 얼굴이 잘 보이는 고해상도 사진의 공개를 최소화하세요. 특히 사진 촬영 시 화면 반사가 생기지 않도록 각도를 조정하세요.
  • 화면 보호·입력 습관: 공공장소에서 PIN 입력 시 화면을 손으로 가리거나, 주변 사람과 각도 차이를 둬서 반사를 줄이세요.
  • 다중 인증 활성화: PIN/지문/얼굴 같은 단일 생체인식에 의존하지 말고, 비밀번호+2단계 인증(OTP, 보안키)을 사용하세요.
  • 정기적 보안 점검: 계정 복구 수단을 최신으로 유지하고, 의심스러운 로그인 알림을 활성화하세요.

제조사·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권고 사항

  • 입력 UI 무작위화: 숫자 키패드의 숫자 위치를 무작위로 배치하는 옵션을 제공하면 반사에서 숫자 패턴을 읽기 어렵게 됩니다.
  • 다중 센서·행동 기반 보안: 화면 터치의 압력·멀티터치 패턴, 사용자의 행동(타이핑 리듬 등)을 결합해 식별하세요.
  • 강력한 라이브니스 탐지: 단순 눈 깜빡임 테스트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피부 반사, 혈류 분석 등 다중 신호를 활용하세요.
  • 공격 표면 최소화: 홍채나 지문 이미지를 외부에 저장하지 말고, 템플릿 형태로 변환해 역복원 불가능하도록 보관하세요.
  • 사용자 교육: 제품 매뉴얼과 설정 화면에서 사진·공개 이미지 관리의 위험을 알리세요.

체크리스트: 사용자와 제조사

사용자용 빠른 체크리스트:

  • SNS에 올릴 셀피의 해상도와 각도를 검토했나요?
  • 공개 프로필 사진에 화면 반사가 보이나요?
  • 계정에 2단계 인증을 활성화했나요?

제조사용 빠른 체크리스트:

  • PIN 입력 UI에 무작위화 옵션을 제공하나요?
  • 라이브니스 탐지는 다중 신호로 동작하나요?
  • 생체 템플릿은 역복원이 불가능한 형태로 저장되나요?

위험 매트릭스 및 완화 전략

위험 요소영향(정성)완화 전략
셀피의 반사로 PIN 노출높음사진 공유 최소화, 입력 시 가림, 무작위 키패드
홍채/지문 이미지 복제높음템플릿화 저장, 다중 인증 요구
라이브니스 우회중간-높음다중 신호 기반 탐지, 하드웨어 보안 모듈 사용

노트: 영향의 정도는 환경(카메라 해상도, 조명, 사용자 습관)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안적 보호 접근법과 설계 원칙

  • 최소화 원칙: 제품은 가능한 적은 생체 데이터를 수집하고 보관해야 합니다.
  • 변조 방지: 센서 하드웨어와 펌웨어의 무결성 검증을 강화하세요.
  • 공개성: 보안 설계와 공격 대응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해 연구자와 협력하세요.
  • 복원 가능성 제거: 생체 데이터를 재사용 불가능한 템플릿으로 변환하세요.

1줄 용어집

  • 각막 반사: 눈의 표면이 주변 환경(예: 화면)을 반사하는 현상.
  • 라이브니스 탐지: 실제 살아있는 사용자인지 판별하는 기술.
  • 초해상도: 알고리즘으로 이미지 세부를 향상하는 기법.

요약

  • Starbug의 연구는 공개 사진에서조차 생체 기반 인증의 취약점이 드러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사용자는 셀피 관리, 다중 인증 사용, 입력 시 주의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제조사는 UI 무작위화, 다중 신호 라이브니스 탐지, 템플릿화 저장 등 설계 개선이 필요합니다.

중요: 본 문서는 공격 기법과 방어책을 설명하기 위한 기술 안내이며, 악의적 사용을 조장하지 않습니다.

요약 요점:

  • 공개 사진에서 화면 반사로 PIN이 유출될 수 있다.
  • 생체인식만으로는 완전한 보안 보장이 어렵다.
  • 사용자·제조사 모두 실천 가능한 완화 조치를 적용해야 한다.
공유하기: X/Twitter Facebook LinkedIn Telegram
저자
편집

유사한 자료

프린트 스풀러 서비스 실행 안됨 해결 방법
Troubleshooting

프린트 스풀러 서비스 실행 안됨 해결 방법

Instagram Friends 탭에서 좋아요·댓글 숨기는 방법
소셜 미디어

Instagram Friends 탭에서 좋아요·댓글 숨기는 방법

RAID1 배열 생성 및 GRUB 설치 가이드
시스템 관리

RAID1 배열 생성 및 GRUB 설치 가이드

Windows 11 25H2 릴리스 프리뷰 설치 가이드
Windows

Windows 11 25H2 릴리스 프리뷰 설치 가이드

셀피로 PIN 추출하는 각막 키로거와 대응법
보안

셀피로 PIN 추출하는 각막 키로거와 대응법

Windows 10 터치패드가 작동하지 않을 때 해결 가이드
윈도우 문제

Windows 10 터치패드가 작동하지 않을 때 해결 가이드